요즘은 여자가 남자 애인을 오빠라는 말로 부르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멋적은 말, 거북한 말입니다. 그래도 혼인 전까지는 그런대로 봐줄 수 있지만...혼인하고 나서까지 오빠라고 부르는데는 ....

제 조카 중에 그런 애가 있습니다. 혼인 전에도 '오빠가...오빠가...'듣기 거북했지만 내 자식도 아니고 자기 부모들은 전혀 문제 삼지 않고 있는데 내가 뭔데 나서느냐는 생각으로 그냥 들어줬는데 혼인 후 몇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오빠가 오빠가 하는데도 징그럽고 심지어 제가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인지 모르나 무슨 근친상간의 생각도 들고 해서 아주 귀를 막고 싶을 정도입니다.

왜 애인을 오빠라고 해야 합니까? 아무개씨라고 부르거나 자기라든가, 기타 많고 많은 말 중에 하필이면 왜 그 용어를 쓰게 되었는지 더욱 기독인인 우리들 중에도 그런 유행에 자연스럽게 동참하는 분들이 있는 것은 안타깝습니다.

용어는 그 사회 사람들의 의식과도 밀접히 연관돼 있지 않느냐는 생각이 듭니다. 공자도 정명(正名)을 중시했습니다. 용어가 혼돈스럽다는 것은 그 사회 사람들의 의식이 혼돈스럽다는 말도 되지 않겠습니까? 오늘 우리 사회가 얼마나 혼돈스럽습니까?

전에 제가 교사 초임 시절에 하루는 저를 따르는 학생이 제게 와서는 하는 말이,

'선생님, 선생님을 형님이라고 부르면 안되겠습니까? 선생님이라고 하니까 거리감이 느껴져서요...'

그래서 저는 그 자리에서 간단히 답변할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 학생에게 사흘 말미를 달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충분히 생각해보고 다른 동료들에게도 의견을 구했으나 동료들 말도 한결 같이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그 것을 거절했습니다. 그러나 그랬어도 그 학생과 저의 관계는 단절되지 않았습니다. 아니 도리어 그랬기에 오늘까지도 그 학생과 제가 사제지간으로 지내오고 있지 않느냐는 생각도 듭니다.

tcf의 젊은 선생님들, 우리는 호칭을 바르게 쓰십시다. 또한 친한 분들이 여기에 글을 쓰면서 서로 간에 반말로 쓰는 것도 사실은 저는 마땅치 않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는 공적인 자리이니만큼 예의를 최대한 지켜야 합니다. 친근하게 쓰려면 두 사람만 볼 수 있는 메일을 이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사람을 한자로 인간(人間)이라고 합니다. 왜 사람에게 사이를 뜻하는 글짜를 굳이 썼겠습니까? 허물 없는 사이가 항상 나중에 잘못되면 말썽이 되더군요....옛날에는 고모는 아버지의 여자 형제만을 가리켜 고모라고 했는데 지금은 아버지의 사존 누이동생이나 아버지의 사촌 누님도 다 한통속으로 몰아서 고모라고 하더군요.

용어가 전보다 더 친근해져가는데 도리어 인간 관계는 멀어지고 있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합니까? 오빠라고 하던 사람들이 도리어 이혼율이 높은 것도 그렇지 않습니까?

저도 tcf 생활을 하면서 여러분들 중에서 저를 친근하게 형님이라고 불러주는 고마운 분들이 있었지만 저는 그 분들을 아우로 대하지 않았습니다. 그랬기에 제가 tcf에서 오래 남아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말하는 저더러 너무 차갑다고 하실지도 모르나 지금 이 시대는 너무 친해서 도리어 문제가 많이 생기지 않을까 염려하며 이 글을 씁니다.
조회 수 :
995
추천 수 :
2 / 0
등록일 :
2001.10.25
10:36:21 (*.248.247.252)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99922/647/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999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3218 사진 전시회를 열며... 1065     2001-10-19
사진 전시회를 열며... 저는 우리 학교의 사진반을 맡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사진반원은 모두 20명입니다. 그러나 대개가 3학년 학생들이므로 실제 활동 인원은 1학년 뿐으로 불과 4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2학년은 한 명도 없습니다. 제가 새학기에 들어...  
3217 가을 지리산 등산기 1008     2001-10-19
2001년 가을 지리산 등산기 2001년 10월 13일 22:50서울역 출발하다. 23:00영등포역에서 일행 8명이 승차하다. 2001년 10월 14일 03:47곡성에 닿다. 04:05구례구역에 도착하다. 졸린 눈을 비비며 승강장에 내려선다. 서늘한 새벽 공기가 뺨을 스쳐간다. 아직 ...  
3216 가을 등산 1539     2001-10-22
매일 밤에만 올라가던 뒷산을 어제는 낮에 등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와 친한 우리 학교의 ㅇㅇ선생님께서 우리 동네의 국립 공원 안에 있는 500여 미터 높이의 유명한 산, 사패산(賜牌山)으로 학생들과 함께 등산하러 오겠다고 하셔서 약속 시각인 정오에 ...  
3215 Re..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903     2001-10-23
김규탁선생님 대단하십니다. 언어도 다르고 모든 것이 다른 일본에 가서 공부하고 있다니...생각만 해도 긴장의 연속에다가 정신이 없을 것 같습니다...외국인이 그 정도도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무슨 재미입니까? ... 잘하고 계신 겁니다. 소식 진정 반갑습니...  
3214 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1072     2001-10-23
안녕하세요. 모두들 주안에서 평안하시지요? 저는 요사이 하루에 몇번씩 시계를 본다든지, 수첩을 본다든지, 오늘 할일을 몇번씩 생각을 하고 또 한다든지, 오늘 할 말에 대해 반복해서 연습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일어난 몇가지 사건이 있었기 때문...  
3213 Re..가을을 선물합니다 873     2001-10-24
홍주영선생님, 정말 아름다운 영상입니다. 가을 정취가 흠뻑배어 있었습니다. 음악과 너무나도 잘 어울려서 정말 훌륭한 가을 선물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대영  
3212 가을을 선물합니다 [1] 1160     2001-10-23
 
3211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05     2001-10-24
선생님, 그 곳을 떠나려는 선생님의 의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만의 하나 현실 도피의 성격이라면 어디가도 그 상황은 선생님을 줄기차게 따라다닐 것입니다. 개도 정면도전하는 사람은 피해가지만 그러지 않고 자기를 피해가려는 사람에게는 귀신 같이 이를 알...  
3210 사랑하는 지체에게 825     2001-10-24
연숙아.. 오랫만이다. 대학 4년을 같이 보내고 같이 훈련 받으면서 참 가까이 있었던 우리였는데 다른 지역으로 발령을 받고.. 또 경산 TCF가 독립을 하면서 참 ,, 얼굴 보는 것이 참 힘들구나 그래도 수련회때마다 1년에 2번 이상은 꼭 봤었는데 이번에는 연...  
3209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90     2001-10-24
음~~~ 연숙이에게 아주 심각한 문제인 것 같구나.... 이 언니가 뭐라고 이야기 해야좋을지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원론적이고 지극히 진부한 이야기만 하자면... 사표를 내고 안내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연숙이가 어떠한 동기로 행동하느냐가 더 중요...  
3208 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909     2001-10-23
안녕하세요? 저는 경산TCF 김연숙입니다. 모두들 잘 지내시죠? 요즘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내년에 대구에 임용고시를 치를지 말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임용고시를 치를려면 지금 10월 말까지 사표를 내야 됩니다. 그렇지...  
3207 29회 수련회 사진값이... 875     2001-10-24
29회 수련회 사진을 발송한 지 오늘로 20일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제가 83분에게 우송을 했으나 입금해주신 분은 어제로 29분입니다. 은행에 가시기가 어려우실 줄은 아오나 그래도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금주 내로 입금을 부탁드립니다. 혹시 사진값이 얼마...  
3206 가장 중요한 것 [2] 1246     2001-10-24
♠♠ 가장 중요한 것 ♠♠ 하반신 마비가 되기 전에 내가 할 수 있었던 일은 1만 가지였다. 그러나.. 이제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9천 가지가 있다. 나는 내가 잃어버린 1천 가지를 후회하며 살 수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내게 가능한 9천 가지를 하면서 살 수도...  
3205 Re..동의 합니다. 921     2001-10-26
저도 선생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사람 사이에 일정한 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른 호칭의 사용도 꼭 필요한 일이고요. 요즘 가을 산이 참 멋있죠?  
» 애인을 왜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가? 김대영 995 2   2001-10-25
요즘은 여자가 남자 애인을 오빠라는 말로 부르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멋적은 말, 거북한 말입니다. 그래도 혼인 전까지는 그런대로 봐줄 수 있지만...혼인하고 나서까지 오빠라고 부르는데는 .... 제 조카 중에 그런 애가 있습니다. 혼인 전에도...  
3203 Re..김대영선생님! [1] 1162     2001-10-29
연가투쟁하시느라 힘드셨지요? 저는 여러가지 생각이 많았는데 결국 선약이 되어 있던 수학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함께 연대의대에서 열린 기독 학문학회에 참여했습니다. 동일한 시간에 수고하고 계시는 전교조선생님들 생각하며 "교육,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  
3202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24     2001-10-28
원문을 다 읽어보지 못했지만 인용하신 부분의 글이라든가 평소 선생님을 잘 알고 있기에 저도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김대영  
3201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3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00 Re..저도 충격 885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199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09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