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문제..그리고 우리의 문제들...(트로이 목마효과)

어렸을 적 트로이의 목마라는 고대사의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세계의 패권을 노리는 그리스와 트로이의 전쟁에서 그리스가 난공불락의 요새인 트로이를 무력으로 점령할 수 없자 성문으로는 들어갈 수 없는 거대한 목마를 만들고 그 곳에 무장한 군사를 숨겨둔 채, 패한 것처럼 도망을 간다. 재앙을 두려워한 트로이 군사들이 트로이의 목마를 가져오기 위해 성문을 헐어 자기의 성안으로 들여오고 이것이 화근이 되어 오히려 패배한다는 내용이었다.
요즘 교회를 바라보며 개인적으로 우리 교회도 트로이 목마의 이야기와 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이 아닐까 걱정이 된다. 우리의 교회는 지금 새로운 문화들이 속속히 들어오고 있다. 단지 세상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교회도 거기에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는 논리를 가지고 말이다. 좋게 표현하면 눈높이를 맞추는 것이라고도 이야기한다. 그러나 새로운 문화를 들여올 때 우리는 반드시 거쳐야 할 작업이 있다. 그것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또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러한 문화에 대해 철저한 비판과 검토작업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는 그러한 작업이 거의 전무하다. 트로이의 목마도 만약 목마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경계하고 살펴보았더라면 아마 그런 실패는 경험하지 않았을 테지만, 그러한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한 나라의 패망으로 이어진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문화도 세상의 문화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역사 속의 이야기가 우리의 현실로 다가서게 될지 어떻게 알겠는가?
오스 기니스는 사탄의 교회전복전략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첫째 단계는 문화적 문맹 단계로 교회가 문화와 결합하도록 부추겨서 교회의 특성이 사라지고 문화만 남는다.
둘째 단계는 문화적 예속 단계로 교회와 문화의 결합이 심해져 교회가 문화의 도움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간다.
셋째 단계는 문화적 소멸 단계로 교회가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결합하여 교회의 모습이 점차 사라지는 것이다.
지금 현재 우리의 모습은 어디에 와 있는가? 정말 우리가 세상의 문화를 교회로 잘 못 들여오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럼 세상의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어떤 결과가 있을까? 여기에 대해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기업 두 곳이 있다.
얼마 전 박진영의 비윤리적인 노래 때문에 언론사에 가서 기독교사의 이름으로 한참 싸우고 왔다. 그리고 나서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으로 돌아와 기독교 방송을 켰는데 박진영의 그 노래가 나오지 않는가? 정말 허탈했다. 내가 가장 우군으로 생각했던 이들에게 뒤통수를 얻어맞는 기분이었다. 또 얼마 전에는 방송에서 나오는 노래 가사에 술을 마시자는 이야기가 버젓이 우리 크리스찬을 향하여 외치고 있었다. 요즘 우리 기독교 방송을 듣다 보면 정말 기독교인들이 만드는 방송인지 의문이 들 때가 빈번하다. 처음에 기독교 방송은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스포츠 투데이는 어떠한가? 순복음 교회 교인들의 정성이 담긴 헌금으로 만들어진(간접적이지만) 신문의 모습을 보면 정말 안타까움이 절정을 이룬다. 얼마 전 기윤실에서 스포츠신문 모니터링을 한 결과에 의하면 4개의 스포츠 신문 중에서 가장 선정적인 내용이 많은 신문 1위로 뽑혔다.
나는 이들이 초창기부터 이런 목적으로 방송이나 신문을 시작하였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처음에는 무언가 긍정적이고 좋은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좋은 계획을 가지고 출발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시청률과 구독률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의 눈높이를 맞추고 세상의 정서를 맞추어주다 보니 지금의 현실이 도래하였다고 생각한다. 난 이들을 보면서 참 가슴이 아프다. 그러나 우리 교회도 이런 모습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아니 똑같은 모습이 아니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나는 이런 대답에도 회의적이다. 우리도 지금의 상황에서는 모두가 면역이 되어버린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 교회에서도 언젠가부터 결혼 전 성관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고, 우리의 찬양 속에서도 세상의 문화에 젖어 든 패배감을 많이 느낀다. 주일 찬양 시간, 엄청난 사운드 속에서 드럼과 함께 부르는 신나는 찬양의 가사 내용은 예수님께서 우리 죄를 위해 고통받는 노래이다. 이런 찬양을 들으면 마치 사탄이 예수님의 고통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하다. '구원받았네', '씻어 주셨네'라는 노래를 부르고 다음 노래는 '날 구원해 주소서'라고 찬양한다. 그럼 아까 구원 받았다는 이야기는 왜 했는지.....
대중가요에 심취한 우리 아이들이 '가사 안들어요. 노래가 좋으면 됐죠.' 라고 말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설교말씀 전 차분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할 때 엄청난 사운드와 빠른 템포의 ccm 으로 모두가 흥분해 있다. 과학적으로도 사운드가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른 템포의 곡은 사람이 흥분하기가 쉽고 사람이 이성적으로 좋다 나쁘다를 판단할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이비 종교(사탄)나 헤비메탈에서 쓰는 방법들이 큰 사운드나 빠른 템포의 음악을 즐겨 쓴다. 언젠가부터 우리 교회에서도 이런 것들이 보편적인 문화가 되지는 않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것에는 관심이 없다. 그러면서 모두가 이런 문화 속에서 알게 모르게 적응하며 자신도 빠져들어 가게 된다. 자신은 모른다. 그리고 자기의 가치관들도 조금씩 바뀌어간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사 그것을 다스리며 지키게 하시고"(창세기 2 : 15)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면서 에덴 동산을 만들고 그 당시의 세상인 동산을 다스리며 지키라고 하셨다.
그러나 지금 현재의 상황을 보자. 우리 크리스찬들은 과연 세상의 문화를 다스리고 있는가? 오히려 세상의 문화에 의해서 우리가 다스려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 물음은 세상이 우리 교회의 문화를 따라가고 있는가? 아니면 우리 교회가 세상의 문화를 따라가고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간단하게 답이 나온다. 과연 우리 문화의 흐름은 어느 쪽을 따라가고 있는가?
창세기에 나오는 주님의 말씀은 우리가 하고 싶어서 하고, 안하고 싶어서 안하게 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책임이다. 우리가 우리의 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지금은 우리의 교회에서 또는 우리 삶의 현장에서 우리의 문화를 다시 한 번 심각하게 되돌아볼 때이다. 지금 우리 교회에서부터 문화와의 전쟁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면, 먼 훗날 우리의 교회는 하나님이 중심이 아니라 음악이 주인이 되고, 문화가 행사가 주인이 되며, 즐기기 위한 장소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하겠는가? 세상의 문화를 들여오면서 철저한 비판과 검토 없이 들여올 때 역사 속의 트로이처럼 우리의 교회가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의 문화가 세상의 문화를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문화를 좇아 갈 때 우리 후배 크리스찬들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는 것은 아닌지 심히 걱정이 된다
'예수님요? 역사적으로 훌륭한 위인 중 한 사람 아니겠어요?'
조회 수 :
2503
추천 수 :
2 / 0
등록일 :
2001.10.10
09:52:20 (*.178.85.124)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99865/2d2/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998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
3258 TCF 웹하드 FTP와 넷드라이브로 편리하게 사용하세요! [1] 5867     2010-04-16
안녕하세요! 그동안 웹브라우저로만 이용이 가능했던 TCF 웹하드가 이제는 FTP를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복구하였습니다. 사용방법은 [ 파일질라 ] 라는 FTP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신 후 실행하시고 [ 네이버 자료실 링크 : http://file....  
3257 회복적생활교육대구지역신청안내 [26] 5708     2012-08-29
좋은교사와 tcf가 함께 회복적 생활교육 워크숍을 대구지역에서 최초로 가지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대전에서 가질 예정이었으나 대구지역교사들의 참여의사가 높아서 장소를 변경하였습니다. 타지역 선생님들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래 회복적생활교...  
3256 TCF의 노선에 대해서..... 신사도운동과 관련하여. [14] 5537     2011-09-28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TCF홈페이지에 왔네요. 수년 전에 수련회에 받은 은혜들을 더듬어 보며 이번 여름에는 어떤 강사께서 오시나 수련회 홈페이지로 들어가봤는데, 스캇브레너, 레위지파... 사실 좀 충격적이었구요, 지금은 TCF활동은 안하지만 친정같...  
3255 중앙기독중학교 교사모집 공고 ( 중앙기독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시작) 5498     2006-11-20
“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 (시 119:105) ” (가칭)중앙기독중등학교 교사모집 여기 하나님의 학교가 있습니다. 교육과 신앙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지체들이 모였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고 예수님의 지상 명령인 복음...  
3254 (대구→포항 가신) 임주영선생님 결혼 [4] 5438     2012-03-20
대구모임의 훈남이자, TCF소프트볼팀 부동의 1번 타자로 전국체전 동메달 신화의 선봉에 섰던, 지금은 포항 TCF에서 섬기는 임주영 선생님이 드디어 결혼식을 올립니다. 3월 31일(토), 오후 2시, 서울 프라자웨딩홀 1층입니다. 많이 축하해 주시길 바랍니다.  
3253 582장을 부르며 드는 생각 [2] file 5326     2012-08-15
 
3252 중앙기독중학교 기간제교사 모집 file 5189     2011-02-10
 
3251 기독교사대회 티셔츠-매진임박! [2] file 5094     2012-07-25
 
3250 뒤늦은 수련회 후기 [2] 5014     2011-02-05
안녕하세요. 예비교사로 소속 TCF도 없이 수련회부터 먼저 참가하게 된 장효진이라고해요. 기독교사모임이라는 자체가 굉장히 생소했는데 수련회 이틀전에 겨우 용기내어 신청하였고, 바로 대표간사님이라는 분께서 (나중에 봤더니 안준길 선생님이셨어요!) 직...  
3249 잠언 13장 24절에 대한 이야기... [1] 5010     2010-07-29
잠언 13장 24절을 제가 가지고 있는 성경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역본으로 보았습니다. 『매를 아끼는 사람은 자식을 미워하는 자요, 자식을 사랑하는 사람은 징계를 게을리하지 않는다.』(잠 13:24, 바른) 『매를 아끼는 자는 그의 자식을 미워함이라 자식...  
3248 북유럽 탐방 잘 다녀왔습니다~^^ [8] file 4985     2012-01-26
 
3247 m k 에 비젼있는 교사들께 4879     2002-01-25
겨울 휴가를 한국에서 겨울 휴가차 한국에와서 1달가량 머물게 되었습니다. 요즈음은 이런 공유의 사이트가 있어 정보를 나눌 수 있으니 매우 반갑습니다. 선교지에서 고독하게 지내다 많은 동역자를 만난 기쁨입니다. 사랑하는 후배들에게 절실한 몇마디를 적...  
3246 박만석&이정미 2세^^ 축하해주세요~ [10] file 4872     2011-12-02
 
3245 TCF야구팀 이름 공모 [17] 4864     2012-09-23
대구 TCF에서 2004년에 창단된 소프트볼 팀이 최근에 야구팀으로 변신(변심)했습니다. 소프트볼을, 그것도 남자가 한다는 생소,풋풋,참신, 등등의 이미지를 버리는 것은 못내 아쉬웠지만, 상대할 팀을 찾기가 너무 어렵고, 그간 스파링 상대로 삼아왔던 여자 ...  
3244 사람의 생각, 하나님의 뜻 4840     2011-11-21
제가 교회에서 제자반 교육을 주1회 받고 있는데, 숙제중 하나가 일주일 1회 큐티를 양식에 따라 하는것입니다 그리곤 만나서 은혜 받은 큐티 내용을 나눔니다. 오늘은 감동이 돼서 이곳에 글을 실어봅니다 본문은 삼상16: 1-13 1. 기도: 이 말씀은 나에게 주...  
3243 십일조를 어디에 내야 하는지? [10] 4837     2012-07-05
요즘... 원래 다니던 교회 대예배에 참석하지 않고, 주마다 바꿔 가면서 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십일조를 깜빡한 적이 있는데, 아내가 그러더군요. 십일조 제대로 내고 있냐고... 예... 십일조를 내는 것은 맞다 생각합니다. 적어도 '모든 것이 주...  
3242 겨울수련회 안내^^ [1] file 4782     2012-01-01
 
3241 이설희 선생님 근황 [14] 4743     2011-08-29
지난 토요일엔 익산에 다녀왔습니다. 현남샘 결혼식 참석도 하고, 선경자매 문안과 이설희선생님 오빠도 한 번 뵐겸. 현남샘 인기는 일단 하늘을 찌르더군요. 구미의 손지원 선생님 부부하며, 대구의 권미진샘, 포항의 장순규 누님, 전주 익산 선생님들 총출동...  
3240 이번 수련회 때 부른 찬양 콘티 [6] file 4713     2013-08-16
 
3239 한동대학교 대학원 4665     2004-10-29
기독교사연합을 통해 우리에게 요청이 들어온 광고입니다. 관심있으신 분께서는 자세히 읽어보세요 기독교세계관과 창조과학으로 세워가는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생 모집안내 1. 개설 배경 하나님의 방법으로 하나님의 인재를 양육하는 하나님의 대학 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