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이계안 전 현대자동차 사장이 오늘 아침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독자칼럼입니다. 대기업 CEO를 지낸 분이 보여준, 어려운 형편의 아이들을 돌아보는 따뜻한 마음이 감동적입니다.

................................................................................................................
예산을 일러 ‘이념의 서’(理念의 書)라고 합니다. 또 예산의 기본 전제는 그것이 돈, 시간 또는 그 밖의 어느 것이 되었든 유한하다는 것입니다.
김문수 경기지사가 12월2일 도청 직원 대상 월례조회에서 “학교는 밥도 중요하지만 선생님이 제일 중요하다. 학교가 무료급식소는 아니다”라면서 마치 서로 경쟁하다 하나는 죽고 하나만 살아야 하는 것처럼 말한 것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친척집을 전전하며 중학교 1·2학년을 다닌 저는 도시락을 싸갈 형편이 안 되었습니다. 그래도 자존심이 있는지라, 도시락을 싸오지 못했다는 사실을 친구들에게 들키는 것이 싫어서(부끄러워서) 학교 급식 혜택을 받지 않았습니다. 도시락을 못 싸왔다고 말만 하면 우유 한 병과 빵 2개를 먹을 수 있었는데도 말입니다. 그 덕에 건강이 나빠졌고, 결국 고향집으로 낙향해야 했습니다.

저는 그런 경험 때문에 ‘자기 스스로 가난하다’는 사실을 입증해야만 혜택을 주는 방식의 복지제도보다 어린이면 어린이, 초등학교 학생이면 학생 그 자체 자격으로 혜택을 받도록 하는 보편적 복지제도를 지지하는 사람입니다.

사람의 경험만큼 값진 교훈이 있을까요? 그런 경험 때문인지 지금 김 지사와 김상곤 교육감이 무료급식을 놓고 싸우는 모습을 볼 때마다 김문수 지사의 사적 경험을 이해하려고 김 지사의 과거기록을 찾아보곤 합니다.

그래도 의문은 풀리지 않습니다. 그 의문에 스스로 답을 구해봅니다. 김문수 지사의 무료급식에 대한 태도는 지난날 어렵던 시절을 그냥 잊고 싶어 하는 것이라고. 그러나 어려운 시절을 잊어버리는 사람에게 과연 미래가 있을까요?

“김 지사님! 지금 싸우고 계신 무료급식 문제는 돈의 문제가 아닙니다. 아무리 그들이 소수라고 해도 가난을 입증해야만 하는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데 드는 비용으로 이해해 주실 수는 없는지요?” 제가 아는 김 지사라면 분명 그런 따뜻한 마음이 있다고 믿습니다.
....................................................................................................................

저 역시, 고등학교 시절, 학비면제가 필요한 사람은 앞으로 나오라고 하셨던 담임 선생님이 생각납니다. 몸이 안좋으셨던 어머니, 막노동을 하셨던 아버지를 생각하면 마땅히 앞으로 나가서 학비면제 신청서류를 받아야 했었지만, 너무 부끄러워서 책상만 내려다보았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다른 친구들이 성큼성큼 앞으로 나갔습니다. 그때 큰 목소리로 제 이름을 부르시며 "형편 제일 어려운 놈이 안 나오고 뭐해!"하시던 목소리는 22년이 지난 지금도 제 머리에 생생합니다. 그 목소리 덕에 학비면제를 받아서 고맙고, 그 부끄러움 때문에 더 이를 악물고 살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대다수의 교육 정책은 불친절하고 매정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책은 학생의 "배움"에는 관심이 없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눈감은채, 마치 프로야구팀과 중학교 야구팀의 시합을 붙여놓고, 결과로만 말하겠다고 하는 무서운 대학입학제도를 "객관적이다"라는 말 한 마디로, "타당성"과 헌법에 보장된 "교육기회의 평등"은 무시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기독교사이며,  담임된 나 조차 마감시일로 압박해오는 행정업무에 쫓겨서 내 반 아이의 문제를 돌아볼 여유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늘 반성합니다.

신문 한켠의 독자칼럼을 놓고 월요일 아침부터 무거워졌네요.
경기도의 무료급식문제가 선하게 해결되기를 기도합니다.
하지만, 정책보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불평등한 교실에 서 있는 우리 선생님들이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더 친절해지고, 우리가 더 아이들의 "배움"이 일어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학력이 뒤쳐지기 쉬운 형편의 아이들의 학습을 돕고, 자신의 가난을 입증해야만 면제받는 제도보다 한 발 위에 서서, 가정방문이든 남다른 관심을 기울이든 필요한 관심을 기울여서, 아무도 방치되지 않는 교실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빌어요.
안준길


조회 수 :
607
등록일 :
2009.12.07
09:32:53 (*.106.190.2)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950/29f/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950

오승연

2009.12.07
09:53:52
(*.184.201.226)
실제적인 도움과 함께 하나님의 사랑의 띠로 덧입는 일이 중요한 것 같아요~^^

이신혜

2009.12.07
10:49:40
(*.110.24.80)
무료급식문제...안준길쌤의견에동의합니다..

민들레

2009.12.08
11:34:05
(*.43.102.4)
언제나 약자들, 권력의 관심에서 소외된 자들 편에 서 계셨던 예수님의 마음을 우리 동일하게 품고 학생들을 만나야 겠어요.
개인적으론 한번도 들어 본 적 없는 남편의 얘기를 여기서 읽네요^^. 우리 받은 고난이 같은 고난에 처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위로할 수 있어 오히려 감사할 일이죠?

이재국

2009.12.09
12:20:25
(*.240.158.242)
존경하는 안준길샘~ 어찌보면 나누기 힘든 과거인데 사모님도 모르는 얘기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학교가 자사고(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되기 전에 80%가 넘는 선생님께서 반대하셨던 이유도 샘의 의견과 같았습니다.
그러나 현재 자사고로 지정되고 신입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하나님 뜻을 구하고 있습니다. 풍족한 아이들에게도 나름 아픔과 고통이 있겠죠. 그리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 50여명에게 부끄러움 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도 기독교사로의 고민이라 생각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안상욱

2009.12.09
14:24:20
(*.153.186.42)
매사에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사람인 것 같아요. 이 뉴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277628)를 보면서 결국 사람은 변하기 쉬운 존재란 생각이 듭니다. 결코 변하지 않는 하나님을 우리가 아는 것이 우리에게 소망이 되며 그런 하나님을 닮으려는 우리의 삶이 의미있는 삶인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278 꽃들에게 희망을(한글판 전문과 영어낭독 영상) 링크 [1] 이상훈 2016-01-13 116512
3277 TCF 사무실 연락처 [3] 2010-01-15 46458
3276 편도가 부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 총 정리 [4] 민상욱 2005-09-03 44267
3275 회지를 받던 주소를 변경합니다.^^ 김윤기 2011-05-30 20136
3274 Re..이전에 올린 글은 어디로 갔는지? 전형일 2001-10-12 15450
3273 김주희 샘 결혼 청첩장 file 이정미 2007-11-27 11401
3272 쉼과 풍성한 간식이 있었던 전국리더모임~ [7] file 이지순 2012-10-18 10024
3271 대구주님의교회(이용세목사님) 입당식 [4] 안준길 2012-01-24 9678
3270 기독교사대회 TCF 등록자 명단입니다 [7] 박은철 2004-06-18 7792
3269 게시판을 새로 단장합니다. 전형일 2001-10-10 7346
3268 예수 아름다우신(beautiful saviour) file 이재국 2011-01-03 7242
3267 [좋은교사운동] 제17기 예비기독교사 아카데미 김고운 2011-02-14 6415
3266 48회 겨울수련회(포항) 김형국 목사님 성경강해 첫날 MP3자료 올립니다. [1] 안형진 2011-02-13 6402
3265 '성경 역사 과학' 선교학술 사이트 정식 등록 및 주요 내용 소개 권영법 2012-01-24 6246
3264 삼천리 교육원 오시는 길 안내 김덕기 2001-10-10 6151
3263 100811 3일차 저녁 설교(화종부 목사) file 김창욱 2010-08-12 6150
3262 슬.픔. [5] 손영주 2008-06-02 6042
3261 우리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1] 허현 2011-02-18 5949
3260 '주를 위한 이곳에' [2] file 이재국 2011-05-27 5889
3259 새로운 졸업앨범 [1] file 전형일 2013-04-23 5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