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랄로피테쿠스 수업이 나오면 자신이 없었는데 요즘은 오히려 이 수업이 제일 좋아요.
아이들에게 역으로 성경적 가치관을 심어줄수 잇어서요. 제가 수업한 내용을 적었어요. 읽어보시고 적합하게 활용하세요.  
-------------------------------------------------------------------------------------------------------------------

국사 첫 단원은 인류의 기원이 나온다
인턴넷 사이트에서 뽑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진을 아이들에게 보여준다.
웃는 아이도 있다.
그 아이에게 말한다. 너희 조상인데 웃니 !
지금부터 90년전 아프리카에서 화석을 발견했는데 유인원이라는 뜻으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는 이름을 붙혔다.    
이 화석이 인류의 조상으로 추정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이전에는 그러면 무엇이었을까 ?
원숭이 였다.
원숭이 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
새(조류)였다.
새 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도마뱀(파충류였다)
도마뱀 이전에는 무었이었을까?
개구리(양서류)였다.
개구리(양서류)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물고기(어류)였다.
물고기 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달팽이 였다.
달팽이 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지렁이(연체류)였다.
아이들 킼킼 소리가 들린다. 지렁이가 내 조상이라고 ㅋㅋ
그래 지렁이 함부로 밟지마라. 너희 조상이니까!
지렁이 이전에는 무엇이었을까 ?
단세포이다
그럼 단세포는 어떻게 생겼을까?
미토콘드리아였다.
미토콘드리아는 이디서 왔나?
단백질이다.
그럼 단백질은 ?
공기중의 탄소와 질소와 수소로부터 왔다.
사람은 공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까지 설명을 하고 아이들 표정을 보면 떨떨름한 표정이다.
나의 설명을 믿지 못하는 분위기이다.
나는 이렇게 말한다.
이 설명은 선생님이 고등학교 과학교과서를 찾아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인류의 기원에는 두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또 다른 주장은 창조론이다.
창조론은 성경에 근거한 이야기이다.
사랑, 우정, 정의, 양심, 바르게 살아야겠다, 시를 쓰는 마음, 공부하는 마음 이러한 마음은
공기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어떤 인격으로 왔다고 이야기한다.
정의, 사랑, 우정, 양심, 값있는 삶 이러한 마음은 공기로부터 온것이 아니라 사람이 신으로부터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이들 분위기가 수긍하는 분위기를 읽는다.    
---------------------------------------------------------------------------------------
국사, 세계사, 그리고 초등학교 국사단원에서 첫 시간에 인류의 기원 문제를 설명할 난감한 내용인데 오히려 진화론을 객관적으로 설명해주면 아이들이 오히려 믿지 못하겠다는 표정을 짓는다, 덧붙혀서 우리나라에서는 진화론만 가르치지만 주마다 교과서를 달리하는 미국의 경우 주에 따라 창조론를 교과서에 같이 실는다고도 말해준다.      

2. 구석기 시대 살던 사람이 우리 민족의 조상인가 ?
국사교과서(P19)에는 그들이 우리의 조상이 아니다고 설명한다. 즉 기후 변동에 의해 사라졌거나 이동했다고 나온다. 국사 교과서나 지질학에서는 이것을 빙하기 이후에 나타난 간빙기로 해수면이 높졌기 때문에 한반도와 일본이 원래는 붙어있었으나 떨어졌다고 설명한다.

----이 부분은 의미있는 대목이다.    
일정 부분 성경적이다.
성경학자 및 창조과학자들의 의견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노아의 홍수에서 40일 주야로 하늘과 땅 깊음에서 샘에 터졌다고 한다. 땅을 둘러싼 땅위의 물층((창1:6-7)이 쏟아져 나오고 바다 깊은 곳에서 샘물이 터졌다는 것은 화산의 폭발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지구 구조자체에 큰 변동이 생겼음을 암시한다.
이 때 현재의 산맥 형성등 지구의 현재 지구 구조가 형성되었고 이전에 지구 대부분을 일정한 온도를 갖게한 물층이 없어짐으로 온실효과가 사라져 북극, 남극처럼 추운지방이 생기고 적도 부근은 따듯해지는 등 기온차가 발생하였다. 그럼으로 노아 홍수 이전 좋은 환경이 사라짐으로 인간의 수명은 차츰 적어지게 되고 노아홍수 이전 좋은 환경에서 생존해있던 큰동물(공룡 등)이 사라지게 되었다. (공룡의 존재에 대해서도 성경학자 및 창조과학에서는 인정하고 있다), 창조과학에 대해 더 관심이 있으신 분은 창조과학회 홈페이지나 관련서적-과학으로 푸는 창조의 비밀(국민일보), 노아의 대홍수 그 진실을 밝힌다(에스라 서원), 공룡 하나님이 만드셨어요(겨자씨), 나 창조된것 맞어(두란노),우주와 만물은 어떻게 창조되었나(창조과학회)- 를 읽으세요.  

다시 국사로 돌아와서 설명을 계속한다.  
국사와 연관하여서는 한반도와 일본이 연결되었던 땅은 해수면의 상승으로 나누게 되었다.
일반 지질학에서는 이것을 빙하기가 풀리면서 간빙기라고 설명하는데 그것이 아니라 노아의 홍수로 봐야할 것 같다.
이 부분(구석기 시대 살던 사람이 우리의 직접적 조상이 아니다) 수업을 나갈 때 나는 지구에 커다란 기후 변동이 있었음을 말한다. 지질학에서는 빙하기 이후 간빙기라고 설명하고 교회입장에서는 노아의 홍수라고 설명한다고 짧게 언급하고 지나간다.

3. 중석기 시대 - 빠르고 작은 짐승을 잡기 위해 간석기를 사용하다.
--이 부분 역시 적지 않게 성경적이다.
노아홍수 이후 기후 변동으로 지구상의 생태환경이 달라졌다.
땅을 둘러싸고 있는 물층이 없어짐으로 태양의 좋지않은 광선까지 직접 받으면서 지구상의 동식물은 수명이 단축되고 약해졌다. 자연환경이 열악해지므로 공룡 등이 사라져갔다. 동물들도 작아졌다.
일반 지질학에서는 빙하기 이후 간빙기로 설명하지만 성경적 입장에서는 노아의 홍수로 인한 생태계 변동으로 설명이 되어진다.  

4. 청동기 시대
기원전 2000년경에 ~
이 부분에서 세기 구분을 설명하면서
즉 1-100년은 1세기
  101년-200년은 2세기....
  1234년은 13세기 등 세기 분류를 설명해준다
  그러면서 기원전과 서기도 알려준다.
  기원전은 Before Christ
  서기는 라틴어 Anno Domini
                Anno는 ~안에  Domini 는 (主님-예수님 ) 즉 ‘예수님  이후’라는 뜻이
                다.      

역사교사들이 교과안에서 성경적가치관을 찾아내는 작업을 계속해야겠다.

조회 수 :
1332
추천 수 :
87 / 0
등록일 :
2009.03.13
19:15:07 (*.110.60.18)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389/cf3/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389

이영식

2009.03.16
12:55:58
(*.243.82.162)
잘 봤습니다.나름대로 연구를 많이 하셨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278 꽃들에게 희망을(한글판 전문과 영어낭독 영상) 링크 [1] 이상훈 2016-01-13 116578
3277 TCF 사무실 연락처 [3] 2010-01-15 46458
3276 편도가 부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 총 정리 [4] 민상욱 2005-09-03 44268
3275 회지를 받던 주소를 변경합니다.^^ 김윤기 2011-05-30 20137
3274 Re..이전에 올린 글은 어디로 갔는지? 전형일 2001-10-12 15453
3273 김주희 샘 결혼 청첩장 file 이정미 2007-11-27 11402
3272 쉼과 풍성한 간식이 있었던 전국리더모임~ [7] file 이지순 2012-10-18 10026
3271 대구주님의교회(이용세목사님) 입당식 [4] 안준길 2012-01-24 9680
3270 기독교사대회 TCF 등록자 명단입니다 [7] 박은철 2004-06-18 7794
3269 게시판을 새로 단장합니다. 전형일 2001-10-10 7348
3268 예수 아름다우신(beautiful saviour) file 이재국 2011-01-03 7242
3267 [좋은교사운동] 제17기 예비기독교사 아카데미 김고운 2011-02-14 6415
3266 48회 겨울수련회(포항) 김형국 목사님 성경강해 첫날 MP3자료 올립니다. [1] 안형진 2011-02-13 6402
3265 '성경 역사 과학' 선교학술 사이트 정식 등록 및 주요 내용 소개 권영법 2012-01-24 6247
3264 삼천리 교육원 오시는 길 안내 김덕기 2001-10-10 6152
3263 100811 3일차 저녁 설교(화종부 목사) file 김창욱 2010-08-12 6151
3262 슬.픔. [5] 손영주 2008-06-02 6042
3261 우리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1] 허현 2011-02-18 5950
3260 '주를 위한 이곳에' [2] file 이재국 2011-05-27 5889
3259 새로운 졸업앨범 [1] file 전형일 2013-04-23 5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