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 교대 폐지를 절대 반대한다!
(블로그 '꿈꾸는 소년' / 비잔티움 / 2008-12-26)



'교사, 방학기간 무임금 방안 고려' <-- 2008년 12월 25일 CNBNEWS 기사

정부는 공교육강화를 위한다는 명분하에 사범대와 교육대를 폐지하는 대신 로스쿨처럼 교육전문대학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바른 교육이 들어서기 위해서는 훌륭한 교사가 이끌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교사 양성은 사대와 교대를 통한 획일적 교사 양성으로 학생들에게 창조적인 교육을 가르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인재들이 교직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또 각 학교가 학교 특성에 맞는 교사들을 자유롭게 채용해 학생들의 재능을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교원양성제도 하에서는 4년제 대학인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을 나오면 임용고사에 응시하여 교사 자격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방안에 의하면 2~3년의 대학원 과정을 필수로 거쳐야 한다. 교사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 2년 이상을 더 기다려야 할 뿐만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 학부 과정보다 등록금이 쌀 리는 없으므로 이는 엄청난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결국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중산층 이상의 학생들만 교직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결국,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취지는 말은 그럴싸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최근 전교조 사태나 일제고사 거부 사태, 역사교과서 파동 등에서 볼 수 있듯이 현정부가 교육계를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방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해규 위원(한나라당)과 (사)한국학교교육연구원 공동 주최로 지난달 17일 국회헌정 기념관 세미나실에서 '교육전문대학원 법제화를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 한국교육신문 이동주 기자  


아무래도 중산층 이상의 학생들은 삶에 여유가 있기에 일반 대중에 비해 사회에 불만도 적고, 체제 순응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가 교사들을 통제하기 한결 수월해진다. 게다가 대학원 입시전형은 학부 입시전형에 비해 대단히 자의적이기 때문에 학창시절 운동권에 몸담은 적이 있다든지, 면접 과정에서 사상이 불순해 보인다든지 하는 등의 소위 좌빨스러운 학생들을 원천적으로 걸러 낼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교사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 2~3년을 더 공부해야 하니 대학의 입장에서도 횡재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만큼 등록금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로스쿨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학들이 쌍수들고 환영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위 방안이 좌초될 우려가 보이면 각 대학의 총장들이 삭발투쟁이라는 쇼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고보니 교육전문대학원의 도입 취지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야기이다. 그렇다. 로스쿨 도입을 하면서 명분으로 내건 사항과 몹시 흡사하다. "법대와 사법연수원을 통한 획일적 법조인 양성으로 국민들에게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인재들이 법조직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또 각 로펌이 로펌 특성에 맞는 변호사들을 자유롭게 채용해 국가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필자가 <로스쿨은 이미 귀족들만의 돈잔치>라는 글에서 언급했듯이, 로스쿨은 서민들의 법조계 진출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로스쿨 합격생들의 언동을 보니 ㅡ 가령, 학비가 비싸면 장학금을 타면 된다는 발상 ㅡ 일반 대중과는 유리된 다른 세상 사람과 같았다. 만일 사대와 교대가 폐지되고 교원전문대학원이 도입된다면 로스쿨만큼은 아니겠지만 일반 대중과는 사뭇 다른 독특한 부류의 교사집단이 출현할지도 모르겠다. 말로는 서민을 위한다지만 서민의 실상을 전혀 모르는...



※ 출처 - http://byzantine.tistory.com/entry/사대-교대-폐지를-절대-반대한다




ⓒ 비잔티움


--------------------------------------------------------------------------------



답이 아닌 교육전문대학원
(경향신문 / 한병선 / 2008-12-24)



교육전문대학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교육 서비스를 향상시킨다는 취지다. 한나라당 임해규 의원이 추진하고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처럼 교원 양성도 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18대 정기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에 교육계가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공청회에 전국의 교대, 사대 교수 등 관련 당사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빈 자리를 찾기 힘들 정도였다. 여기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로스쿨과 같은 4+2모형, 아예 박사과정까지 포함하는 4+2+3체제, 그 밖에 여러 안들이 쏟아져 나왔다. 모아 말하면 교사들의 학력을 의사나 변호사들 수준으로 올리자는 것이다.

교사들이라고 로스쿨이나 의학전문대학원 같은 시스템을 만들지 못할 이유는 없다. 지금보다 더 나은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만 있다면 그 이상의 무엇인들 못하겠는가. 하지만 문제가 있다.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를 만들면 지금보다 더 좋은 교육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 그렇지 않다. 수학연한은 현재의 교대, 사대에 교육대학원 정도면 차고 넘친다. 결코 수학연한이 짧아서 전문성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핵심은 교직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과 교육적 가치관 부재다. 이것이 주인(主因)이다. 지금까지 교직 적성을 갖춘 자원을 제대로 가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우수한 자원이 몰려도 교직을 단순히 안정성 높은 직장 정도로만 생각한다면 문제란 얘기다.

실제로 이런 생각으로 교직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다. 최근 교직이 인기직종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세태의 반영이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 "할 것 없으면 선생이나 하지"란 말, 외생(外生)변수가 없는 한 남자들에게 기피되는 현실과 견주어 본다면 쉽게 알 수 있다. 교사는 더 좋은 직장이 많아도, 직업의 안정성이 아니어도 교직 목표가 뚜렷한 사람들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대와 사대 입시에서 교직 적성자를 제대로 가릴 수 있는 스크린 장치의 개발이 우선이다.

부연이지만, 이런 인기현상이 교직사회를 더 어렵게 만들 가능성도 있다. 뒤집어 말하면 교직 적성을 갖춘 자원들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장벽이 되는 탓이다.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현실에 의해 교직이 인기라는 것은 교직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개선과 별개이기 때문이다.

다시 본론으로 와서, 교사는 아이들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교육에 의해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란 신념이다. 이런 교직 적성이 바탕이 되었을 때 비로소 좋은 교사가 될 수 있다. 단순히 교육전문대학원과 같은 교육기간의 연장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현재의 교원 양성체제에서도 교직 적성자를 제대로 선발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가방 끈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 한병선 / 교육평론가·문학박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2241737495&code=990304)


원문 주소 -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1&uid=188992

조회 수 :
790
추천 수 :
3 / 0
등록일 :
2008.12.28
20:00:51 (*.36.184.15)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205/9cf/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205

오흥철

2009.01.06
23:17:53
(*.108.233.80)
저는 이 글을 보면서 약간 우려가 되는 것이... 대학원 자체의 불필요성을 우리들이 주장하게 되면, 그렇게 오해받으면 굉장히 위험한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저는 수학연한이... 지금 와서 돌이켜 보면 짧다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그것을 많이 느꼈던 것은... 교과교육론과 교육실습의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교과교육론 및 교과교재연구및 지도법 수업이 달랑 2개, 교육실습이 달랑 1개로 실전훈련을 하기 어렵고, 일반 직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인 대학 졸업한 사람이 바로 직장에 적응받지 못하고 회사에서 재교육을 시켜야 하는 일이 교직에서도 벌어지기 때문이었습니다. 실제로 중등 임용고시 해당 과목에서 차석으로 들어온 선생님이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기도 해서입니다. 물론 그 선생님의 경우만 놓고 보면 예외로 들 수도 있겠지만, 지금 막 발령받은 선생님들 중 어느 정도 이상의 노련함을 가진 분들은... 드물지요. 특히 대학졸업하자마자 발령받은 선생님들... 제 말이 아니라고 하실 수 있나요...

물론 지금과 제가 사범대학 다닐 당시가 같을 리는 없겠지요. 하지만, 후임 선생님들을 보고 교생 선생님들을 교육시키다 보면... 사대 4년만 공부하고 선생님 되겠다는, 되어도 된다는 생각이 위험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대학 갓 졸업하자마자 발령받은 선생님이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마친 뒤 교육대학원까지 졸업하고 발령받은 선생님을 보고 부끄러운 줄은 알아야지요... 우리들의 주장이 그런 주장이라면 이건 쉽게 찬성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지금 정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전문대학원 제도가 대학 4년동안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안 한 사람도 들어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긴 하지만,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한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들어가고, 전문대학원에서 앞서 언급한 교과교육론/교과교재연구및 지도 및 실습이 일정 부분 주어진다면... 반대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모르겠습니다. 선생님들과 생각이 다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 몇 자 적어 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2438 채팅하러 갔다가 [3] 379     2002-08-25
이민정선생님이 놀랐다는 나의 타자솜씨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내어 채팅방에 갔는데 글쓰는 곳을 겨우 찾았는데,도중에 대표간사님께 전화까지 하여 방법을 알아냈지만 글을 치고 아무리 엔터를 쳐도 안되네요.천리안으로 해서 한계가 있는것인가요? 이제 집에...  
2437 TCF, 정기채팅 생겼어요! [2] 349     2002-08-26
지난 일요일 좋은교사 채팅방에서 만난 TCF 선생님들! 너무 재밌었어요. 수련회 때만 만날 수 있는 멀리 계신 선생님들! 이제 정기 채팅방에서 매주 테마있는 만남을 가져 보면 어떨까요? TCF 정기 채팅 뉴스 : # 시간 - 매주 일요일 9시(늦은) (뉴스 보셔야 ...  
2436 성령이 내마음을 만지시네 436     2002-08-27
성령이 내마음을 만지시네. 죄는 우리보다 강합니다. 그래서, 죄의 유혹에 넘어지면 다시금 일어서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죄보다 강하십니다. 하나님의 사랑하심은 죄의 사슬을 끊으시고 주님 앞에 나와 죄를 고백하는 자마다 불쌍히 여기시고...  
2435 금주 정기채팅 수요일(오늘)로 변경!!! [3] 368     2002-08-28
오늘이에요, 오늘! 28일 수요일 밤 9시에 채팅방으로 들어오세요.  
2434 기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울산에서 TCF모임을 합니다.! [4] 468     2002-08-30
이제 TCFer로 첫 발을 내딛는 울산TCFer 권영신입니다.^^ 이곳의 많은 선생님들께서 울산 모임의 시작을 위해 많이 기도해주셨다고 들었습니다. 그 결과로 울산 모임이 지난 주에 처음 시작해서 이번 주에는 이용세 강도사님과 함께 모임을 가졌습니다. 두번째...  
2433 아이들이 처음 우리집에 온 날... [2] file 523     2002-09-01
 
2432 우리반 아이가 쓴 방명록! [7] 422     2002-09-01
저희집에 한번씩 오게 되면 다른 집에서 보지 못하는 “방명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라는 아이가 쓴 방명록이 너무 예뻐 옮겨 봅니다. 방명록 쓰고 싶으면 한번 놀러 오세요^^ ================================================================= 우리...  
2431 내가 해결해 주겠다 [1] 365     2002-09-02
(( 내가 해결해 주겠다. )) 최문식 어제 밤 생명의 삶의 사무엘채드윅의 기도의 길을 읽다가 다음과 같은 글귀에서 내 눈과 마음이 멈추었습니다. " 네가 그 일을 내게 맡기고 걱정하지 않는다면 내가 해결해 주겠다. " 스탠리존스 선교사는 질병으로 고통받고...  
2430 하나님 아버지(펀글) 354     2002-09-03
동료와의 갈등 속에서 드리는 기도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는 좋으신 분입니다. 내 모든 사정을 들으시며 가장 좋은 길로 인도하시는 분입니다. 절망중에 있을 때 내 옆에서 나를 위로하시고 나를 격려하시는 분입니다. 아버지의 위로는 나의 상처를 씻어 주시...  
2429 상주 콩나물 시루 2돌 기념 [1] 405     2002-09-03
어제 9월 2일은 상주 콩나물 시루 모임이 두돌을 맞는 날이 었습니다. 2000년 기독교사대회 이후 만들어졌고 2001년 여름수련회이후 TCF에 가입을 했습니다. 2년간의 역사를 안은영선생님께서 정리해서 상주방에 올려놓았습니다. 일관성 없이 이것 저것 실험적...  
2428 슬럼프... & 회복.... [1] 343     2002-09-03
어제는 정말이지 내 자신의 인격적인 연약함때문에 많이 속상한 날이었다. 아이들이 준비물을 잘 챙겨오지 못한 것으로 인해.... 아주 절제함없이 화를 내는 내 자신을 보면서... 눈물이 날 정도로 나 자신에 대해서 희망이 보이지 않고 교사를 그만두고 싶을 ...  
2427 다단계 판매 '맘웨이'를 통해 얻은 새삶! [5] 733     2002-09-03
최근의 남부지역 간사 김정태 선생님 근황입니다. 님은 요즈음... 매주 화요일마다 울산 모임을 지원하고자 경산~울산(왕복 4시간 여) 원거리를 다니고 있답니다. 주변에 맘웨이(모 다단계 유통 조직의 변칭?), 하이러빙(이 또한 변칭입니다)을 부업(?)으로 하...  
2426 아이들 수준은 이 정도인데... 402     2002-09-04
제가 가르치는 아이들이 교육인적자원부 주최 'contest21'에 작품을 출품하여 금상을 받았답니다. (지난 해에는 프로그래밍, 올 해는 상업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세 명 중 두명은 저희 반입니다.) 이들의 작품이 탑재되어 있는 사이트와 대회 홈피 주소를 소...  
2425 새롭게 [1] 320     2002-09-05
새롭게 이제 2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학기가 제가 발령받은 첫학교에서 마지막 학기입니다. 그래서 이번주 금요일부터 우리 학교 선생님들과 함께 신우회 모임을 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항상 생각만 했는데 이렇게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하고 학교를 ...  
2424 아폴로 눈 병 때문에... [6] 494     2002-09-05
언론의 보도와 무관하게 지내던 과천에도 드디어 눈병의 유행이 번지고 있습니다. 역시 얄미운 바이러스도 잘 살고 못 살고를 차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우리 인간보다 나은 면이 있지 않나 싶네요.. 아직 우리 반에서는 한 명도 없어서 괜찮나 싶었더니 드...  
2423 "찐"들과 함께... [2] 480     2002-09-05
저희학교 1학년에도 "찐"이라고 불려지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2학년 일진아이들과 연결이 될듯한 아이들 혹은 일진이 될만큼 몰려다니며 말썽을 피운다고 경계를 하는 아이들이랍니다. 그 아이들은 저희반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ㅁ을 1학기때부터 단체로 괴...  
2422 고난은 하나님의 사랑이시라. 434     2002-09-05
@ 고린도전서10장 13절 @ " 사람이 감당할 시험밖에는 너희에게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치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 @ 로마서 8장 18절 @ " ...  
2421 서로에게 흠집내지 않기. 471     2002-09-07
@ 마태복음 7장 1-6절 @ " 1 비판을 받지 않으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2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3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  
2420 Re..많이 와주셔서 감사했구요. 충청도 사람들은..! [2] 695     2002-09-10
많은 프로그램도 준비없었는데 많이 오셔서 저희들이 놀랠정도였습니다. 대단하시다는 것으로 표현하고 싶군요. 유관순, 윤봉길, 김좌진...충남사람들이랍니다. 일제시대, 비뚤어져있는 나라에서 나라를 바로세우려는 충직했던 충청 사람들이지요. 천안 사람들...  
2419 [사진]전국 리더모임 [7] file 440     2002-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