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서프라이즈 칼럼] 자본 검열로부터 미디어 해방시킬 방안 고민할 때

김성천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정책실장

아침부터 맵고 짠 닭갈비요리에 점심은 조미료 잔뜩 들어간 김치찌개 그리고 저녁에는 삼겹살, 밤참으로 라면. 이런 식단들이 맛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렇게 자극적인 음식만으로 오랜 세월 식생활이 고착되었다면 그는 훗날 위장 질환은 물론 각종 성인병 질환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먹으면 안 되는 줄 알면서도 당기는 입맛 때문에 자극적인 음식에 손이 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맛의 식단이 어린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고 생각해 보라.

우리의 육체가 음식을 섭취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면 우리의 정신은 미디어와 문화를 섭취한다. 이러한 정신의 음식을 우리는 매일 섭취하고 있지만 너무나도 자극적인 식단이 우리를 유혹하고 있다. 문제는 언제부터인가 그 식단으로부터 벗어난 조미료 안 들어간 음식, 싱거운 음식에는 손이 가지 않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도 웰빙 열풍이 불어 조미료를 적게 먹고, 채식 위주의 식단을 짜며, 싱겁게 먹으려고 하지만, 미디어 만큼은 전혀 웰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선정성이라는 조미료, 재미라는 소금, 폭력적인 고춧가루가 잔뜩 들어간 자극적인 미디어 컨텐츠를 끊임없이 소비하고 있다.

“조미료를 넣지 않으면 손님이 맛 없다고 찾지 않아요”라며 조미료를 음식에 뿌릴 수 밖에 없다고 하소연 내지는 합리화 하는 어느 주방장의 핑계는 마치 자극적인 장면을 넣지 않으면 시청률이 오르지 않는다며 푸념하는 방송 제작진의 모습과 유사하다.

리모콘이 도입되고, 방송사가 늘어나고, 다매체 시대가 오면서 재미 없으면 3초 안에 채널을 돌려 버리는 재핑현상(zapping)은 점점 심해지고, 까다로운 손님의 발길을 잡기 위해 방송국은 선정적인 메뉴를 내 걸고 호객행위를 한다.

최근 대형 음식점보다 자극적인 메뉴를 개발해 손님을 끌고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케이블 채널들이다. 그러다 보니 지상파 대형 음식점들도 뒤질세라 신 메뉴를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문광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케이블 tv의 선정성을 문제 삼았다. 특히 tvN이 발단이 되었다. tvN은 파격적이고 대담한 프로그램을 많이 배치하여 시청률을 상당히 많이 끌어 올렸다. 리얼 tv라든지 몰카, 거침없는 토크쇼, 끈적끈적한 사랑의 짝대기 등의 형식을 사용해 기존 지상파 메뉴들을 상대적으로 싱겁게 만들어 버렸다.

예컨대, 불륜을 저지르고 있는 남편을 관찰하는 몰래카메라가 동원되고, 애정 행각을 그려내며, 마지막에 아내의 응징으로 끝내는 리얼 TV가 있고, 몰카가 동원되는 상황에서, MBC 이경규의 몰카는 차라리 맛없고 싱겁기만 하다.

tvN은 아침부터 고추장 잔뜩 바른 닭갈비를 아침 잠에서 갓 일어난 손님들에게 제공해준다. 청소년 시청 보호 시간대가 오전 10시부터 밤 10시까지이다. 일반적으로 지상파 방송의 경우, 주로 밤 10시 이후 성인용 방송이 나가는 경향이 있는데, 케이블 TV는 교묘히 법망을 피해 아침부터 불륜과 폭력, 욕설이 난무하는 자극적인 내용을 방영한다. 오죽하면 아침에 성인 방송을 틀지 말라는 인터넷 서명운동까지 생기고 있을까?

민주당 손봉숙 의원에 따르면 tvN이 방송위원회로부터 징계받은 것이 올해만 16건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위는 경고만 하고 있고, tvN 사장은 순화시키겠다고 말은 하지만 변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깨끗한 미디어를 위한 교사운동’이 지난 해 12월 수도권 초·중·고생 504명을 대상으로 등급제 준수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방송 등급을 제대로 지키는 청소년 비율은 19.8%에 지나지 않았다.

여기에 방송 등급도 방송사가 자체적으로 매기는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자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등급 자체가 느슨하게 매겨지는 상황에서, 방송 위원회의 사후 규제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사후 규제는 솜방망이 처분에 불과하다.

방송위원회는 영등위의 실패를 교훈삼아야 한다. 영등위는 게임산업을 살려야 한다는 문광부의 명분에 뚜렷한 문제의식을 가지지 못한 채 어설프게 행동하다가 바다이야기 사태를 만들어 냈다. 그리고 영등위는 게임물등급위원회에 게임등급 권한을 물려주어야만 했다.

방송위원회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자명하다. 방송의 윤리성, 공공성, 청소년 보호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재는 방송위원회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 느낌을 받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방송위 스스로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자신들의 규제가 표현의 자유 내지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에 대한 두려움 말이다.

검열의 방식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과거 군사독재에 의해 자행된 국가에 의한 검열 방식이 있다. 둘째는 자본에 의한 검열이다. 자본은 돈이 되는 것을 중심으로 방송을 편성하게 된다. 아무리 좋은 내용도 자본 획득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 방송되지 않는다. 아무리 나쁜 내용도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면 방송된다. 셋째는 자기 검열(정화)이다. 제작진 스스로의 직업 의식, 윤리 의식, 내부 자율 규제 등이 결합되어 스스로 정화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국가에 의한 검열이 아니다. 노무현 정부를 보라. 보수 언론이 얼마나 우습게 여기고 있나? 1년 내내 대통령과 현 정권에 대한 비판으로 지면을 의도적으로 채우고 있다.

미디어의 힘은 이미 대자본이 소유하기 시작했다. tvN도 CJ 미디어의 계열사이다. 요즈음 폭력성이 극에 달한 ‘서든어택’과 같은 일인칭 시점 게임(FPS)은 15세 내지는 18세 등급이지만 요즈음 초등학생들도 등급에 아랑곳 하지 않고 대부분 이용하고 있다. 역시 CJ 인터넷의 작품이다. 이들의 자본력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은 결과적으로 시청률과 주가는 올렸는지 모르겠지만, 방송의 공공성, 윤리성, 사회적 책임, 청소년 보호의 가치는 땅바닥에 내쳐진 지 오래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에서 제작진의 자기정화는 거의 기대하기 힘든 상황인 것 같다. 문화일보의 신정아 누드 사건에 대해서 내부적 정화 장치가 작동하지 않았던 것처럼 대부분의 방송국에서는 자기정화 노력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고 있다.

과거 국가에 대한 검열을 두려워하며 시민사회는 언론과 방송사에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주었다. 그러나 이 틈새를 비집고 자본의 천민자본주의적 행태가 미디어를 장악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방송위는 시민사회의 대표적 성격을 가진 독립기구로서 방송자본을 견제해야 한다.

“문제는 경제다. 바보야!”라는 클린턴의 의식을 적용해 보면, 문제는 “문제는 국가가 아니라 자본이야. 바보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방송국의 자의적 등급에 대한 시민사회의 통제가 가능한 구조에 대한 논의, 등급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 청소년 보호 이용 시간대의 확대, 방송위의 주의와 경고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방송국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이제는 실천되어야 한다.

스포츠 신문의 선정성이 과거에 비해서 그나마 나아진 것은 청소년보호법 개정에 따른 사후 규제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장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돌을 방송위원회에만 던질 수 없다. 우리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조미료 안 들어가고 싱거워진 음식을 기꺼이 나는 먹을 수 있는가?”라고...


2007.10.23일 게재

조회 수 :
397
등록일 :
2007.10.24
23:37:10 (*.173.132.222)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7246/812/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72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2218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 [1] 김정태 2007-11-13 661
2217 홈페이지가 오픈 되어 신고합니다.(서상복) [5] file 서상복 2007-11-12 620
2216 영주 모임 [3] 김정태 2007-11-06 562
2215 “청년, 향후 10년을 말한다!” 동안아카데미에 선생님을 초대합니다. file 이재국 2007-11-02 733
2214 겨울수련회 소식 1탄! [8] file 전형일 2007-11-01 771
2213 가입했습니다. [2] 이승혜 2007-10-26 454
» 미디어에도 웰빙의 바람이 불기를... 김성천 2007-10-24 397
2211 PBS를 하고.... [2] 현승호 2007-10-24 549
2210 좋은교사에서 알리는 4가지 소식 [1] 서헌희 2007-10-22 619
2209 약할 때 강함이 되어주시는 하나님..^^* [3] 오승연 2007-10-20 479
2208 (펌-포항 박만석 선생님) 리더모임 참석 소감문 [5] 김정태 2007-10-19 686
2207 교장, 그 거룩한 부담 앞에 서 계신 선생님들께 정병오 2007-10-18 662
2206 회보를 전국에 보냈습니다. [11] 전형일 2007-10-18 494
2205 리더모임_무주리조트 사진 ^^ [12] 손지원 2007-10-18 834
2204 현수막에 쓸 로고원본을 구합니다 [5] 남은경 2007-10-16 486
2203 건강한 뿌리의 성장을 기대하며..^^* [3] 오승연 2007-10-16 432
2202 개인성경연구 세미나에 초청합니다 file 손희주 2007-10-15 502
2201 부산수련회/리더모임 사진 올렸습니다. 류주욱 2007-10-15 430
2200 가을 리더모임을 다녀와서 [9] file 이재경 2007-10-14 506
2199 가을 전국리더모임 사진입니다. [8] 안준길 2007-10-13 1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