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그러시겠지만, 아프간 피랍자 사태때문에 마음이 늘 무겁네요.

어제는 5.18을 소재로 한 영화 '화려한 휴가'를 봤는데..
권력자들의 총칼앞에 죽어간 수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며 떠오르는 단어는 '선택'이었습니다.
죽을줄 알면서도 다시 도청으로 들어간 사람들.
그들은 부끄러운 삶 대신, 죽음을 선택한 것이죠.
또한 라스트신, 모든 사람들이 웃고 있는 사이에 혼자서 슬퍼하는 신애의 표정에서 살아남은 자의 슬픔과 고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백여년 전에도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죽기를 각오한 채 한국땅을 선택한 사람들이 있었지요.
당시 한국은 일본과 중국등 이 땅을 둘러싸고 있는 나라들의 전쟁과 식민통치 등 안전한 곳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용감한 선택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복음의 은혜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1907년 100주년을 맞아, 수많은 행사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올해, 한국교회 초기에 관련된 책들을 많이 읽으며 나름대로 내린 결론은 죽기를 각오하고 이땅에서 복음을 전한 사람들의 희생과 순교, 그리고 말씀에 온전히 순종한 교인들의 회개로 인하여 부흥이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얼마전에 터키에서 일어난 선교사 살해 사건과 관련하여 현지 선교사님과 잠깐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습니다. 그 사건 이후로 위험을 느끼거나 사역이 위축되지 않았느냐고 묻는 물음에 그 분은 이렇게 답하더군요.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더 놀라운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고요.

많은 사람들이 이번 사태를 유발한 교회와 선교행위 자체를 비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음때문에, 그들을 사랑하는 마음 때문에 멀리갔다가 돌아가신 분들과 그 가족에게 하나님의 위로가 임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기를 소망합니다.
또한, 아직도 납치상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봉사단원들이 속히 풀려날 수 있기를 기도해 봅니다.
조회 수 :
409
등록일 :
2007.08.01
14:25:00 (*.1.217.120)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7007/e34/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7007

김정태

2007.08.01
17:46:24
(*.251.246.138)
아멘! 정말 그렇습니다.
저는 그냥 요즘 네티즌들의 악플을 보면서 산상수훈 말씀이 계속 묵상됩니다.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
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마5:11)"

이선희

2007.08.01
18:22:05
(*.15.194.34)
예..꼭 기도하겠습니다.

손지원

2007.08.01
18:47:00
(*.242.31.21)
인터넷 댓글을 우연히 보면, 정말 마음이 상할 정도로 심하더군요. 비록 두 분이 순교를 하셨지만, 그들의 죽음이 더 큰 울림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유족들에게 하늘의 위로가 깃들길 기도합니다.

안준길

2007.08.01
22:53:09
(*.150.199.8)
저도 저희반 학생들과 오후 자율학습 마치고 "화려한 휴가" 극장에서 함께 보았습니다. 시종 흐느끼는 학생들을 보면서, 후에 식사하는 자리에서 아이들이 쏟아내는 말들을 들으며 참 감사한 마음 가졌습니다. 광주민주화 항쟁 때도 거의 모든 국민이 단체로 진실을 몰랐던 것 처럼, 이번 일도 보통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그분들 마음 깊은 곳의 그 땅을 향한 긍휼함 같은 것은 보이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무거운 마음으로 함께 기도를 보탭니다.

강영희

2007.08.02
22:39:01
(*.58.6.46)
방금 박은조 목사님께서 교계에 보내셨다는 편지를 읽었습니다.
그 편지를 읽고나니 그들이 그곳에 왜 갔는지 의문이 풀립니다. 박목사님을 위해서도, 피랍되어 있는 형제자매들을 위해서도 함께 기도할때...저는 깊이 기도하지도 못하면서 수시로 "하나님 이 상황이 뭡니까? 이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합니까?"합니다.
...무더위를 핑계로 깨어있지 못함을 회개합니다.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