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쯤 도착한다고 들었었는데 더 맘의 준비를 하라는뜻인지 아직...
아니면 교무실 한켠에 와있을지도...확인을 해야겠네요.

대의원총회때 어느 선생님 질문.
"저같은 젊고 어린 교사들은 어떻게 하라는 것입니까? 학교에서 어떻게 처신하고 이문제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선배님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개인적인 입장을 나누는 것이 혹 도움이 될까하여...

저는 늘 전교조선생님들께 빚진 맘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해직을 감수하면서 교육여건을 일궈놓은 그 눈물의 수고에 대해서 말입니다. ..그래서 사립에 있던 제가 공립으로 와서는 제 스스로 전교조에 가입하기도 했었답니다.

그런데 요즘 새롭게 겪는 우리 상황에 대해서...
세상이 순진하다고 하고 교육부에 이용당하면 어쩌려고 그러느냐고 하는 좋은교사 입장에 대해서, 방관하는 입장에 처한다면 두고두고 (전교조에 가졌던 것보다 )더 빚진 맘을 가지고 살아야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확실한 입장에 설때 오히려 세상은 우리를 인정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경험했습니다.
반대서명하지 않고 제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100분토론을 보라고 하면서 고민하는 모습이 보이는등
심각했던 제모습을 보며
며칠뒤에 어느 선생님은 "인생을 선생님처럼 살아야한다고"
제뒤에서 다른 선생님들께 말했다고 하더군요.
전교조 강경투쟁을 지지하는 선생님이 말이예요.

어제는 전교조 집행부와 연관이 있는 어느선생님께
"선생님 제가 좋은교사 교원평가 찬성 홍보자료를 교무실에
돌릴텐데 당황하지 마세요"
했는데,  순수한 뜻은 알겠는데 교육부에 이용당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더군요.

하지만 민주교육을 주장하는 그들이 다른 관점(찬성입장에 대한 의견)을 무시하거나 거부한다면 우리도 충분히 할말이 있겠지요.

전교조 아닌 다른 분들도 아마 곱지 않은 시선으로 우리를 보겠지만
양심의 소리를 당당히 전할때 오히려 그분들께 도전이 될수 있고,
아니면 또  어떡하겠습니까?

부담스러운 분들은 다양한 관점중 하나를 소개한다는 입장에서 읽어보시라고 권하면 되지 않을까요?

저는 좋은교사를 소개하는 작은 쪽지 하나를 만들어서 제이름을 쓴다음 홍보지에 붙여서  돌리려고 합니다.
"네이스때 중재안을 제시하여 교육부를 움직였던 좋은교사 운동이 이젠 희한하게 교원펑가제를 찬성합니다..."로 시작되는 간단한 글을 쓰려고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기도많이 하시고, 말씀 가운데 인도받으면서 주님이 주시는 양심에 따라 주신 상황에 반응하는 TCFer들 되시길 기도합니다.
저는 오늘부터 이 문제의 해결을 볼때까지 한끼 금식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각 개인별로 지역모임에서 뜨거운 기도운동이 일어나기를 소망합니다.

우리 교육의 주인이시며,
태초부터 지금까지 역사의 흐름을 주장해오신
하나님을 의지하며...









조회 수 :
386
등록일 :
2005.05.25
08:06:05 (*.99.88.125)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4714/b68/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4714

나희철

2005.05.25
20:16:56
(*.255.138.157)
어제 저는 홍보자료 30부를 받았었습니다. 마침 신우회 모임때라 나누고 신우회 샘이 없는 학년은 제가 돌리기로 했었습니다. 사실 저는 별로 내키지 않았습니다. 저희 학교는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아무 이야기가 없거든요. 제 개인적 성향도 나서서 틔는 것 좋아하지 않고...

그런데 오늘 오전, 지금 교원평가 반대 서명지 회람이 도니 내일 돌리자는 부장선생님이신 신우회 샘의 전화를 받고, 저는 이미 돌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부장샘도 그럼 지금 돌리겠노라 하시더군요. 신우회 샘들에게 전화를 해서 회람 돌기전에 나눠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그리고 각 학년 팝콘에 <좋은교사> 교원평가관련 해설서를 참고하여 달라는 내용의 긴 메시지를 제 이름으로 띄웠습니다.

"6-4 나희철>>
지금 교원평가 반대 서명 회람이 돌고 있습니다.
교원평가 반대서명에 앞서!
간혹 돌곤 하는 서명 회람에 별 생각없이 하듯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교원평가를 찬성 또는 반대하는 교사의 인원수에 언론이나 국민들의 관심이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그 결과가 여론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교육계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원평가에 반대를 하든 찬성을 하든 교사로서의 자신의 주관을 갖고 하셔야 할 중요한 문제입니다.

<좋은교사> 교원평가 해설서를 참고해 주세요. 비록 찬성하는 한쪽 입장의 이야기이지만, 이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

아무도 댓글을 달지 않았고, 아무도 그것과 관련해 제게 아무말이 없습니다. 그리고 아침자습때 1학년을 돈다던 반대 서명 회람이 퇴근때까지 소식이 없습니다. 중단된 것인지, 내일이 되어서야 우리 학년에 올려는지...

선생님의 나눔을 들으며...
최소한 제가 무의미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가 전면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신우회 샘들을 통해 학년별로 조용히 돌리려다 교원평가 반대 서명 회람에 전체 팝콘을 통해 나를 드러내며 급히 돌리도록 행한 것이 경솔한 판단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속한 공동체의 홈피에는 교원평가와 관련한 나눔이 없어 TCF에 들어와 보았는데, 선생님 나눔이 감사해서 긴 댓글로 감사를 대신합니다.

강영희

2005.05.25
21:40:49
(*.29.25.37)
나희철샘 반갑구요. 선생님 리플감사해요. 오늘 한가지 아이디어 얻었네요. 전 교직원에게 컴 쪽지 보내는 것. 내일 일찍 출근하여 온교무실에 다 돌리려는데 돌린후에 쪽지를 보내면 더 좋겠네요. 그리고 선생님 수고에 박수를 보내고 싶어요. 정말 잘 하셨네요. 성경공부한다는 우리들이 성경적인 안목으로 세상을 보며 특히 한국교육의 현실적 문제를 외면하면 안되겠죠. 이번에 문제의 중심부에서 우리 문제로 끌어안고 기도하고 있다는 자체가 감사한 것이죠.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