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학생들의 취업을 앞두고 학급활동시간에 늘 하던 '3분 묵상'을 실시했습니다.
3분 묵상은...
요즈음 아이들의 특성이 어른의 훈계를 지긋하게 앉아서 듣지 못(?)하는 지라
고민 끝에 마련한 아이디어입니다. 원동연 박사의 '5차원전면교육법' 책을 참고했고요...

3분 묵상의 방법은...
짧은 글(주로 멋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소재로 함)을 프린트해서 나누어 주고
가. 느낀 점 / 나. 적용점 등을 쓰게 한답니다.

이 날 읽은 글감은 요즈음 제게 자주 보내져오는 어떤 사람의 글이었습니다.
이 사람은 어느 자동차 보험회사 직원인 것 같은데 그 내용이 유익해서 잘 읽고 있지요.
아래에 그 글 전문과 아이들의 활동 자료를 올립니다.

---------------------------------------------------------------------------------------
<취업 전 들어둘 만한 이야기 - 하나>
"자동차 문을 열을 때는 조심하셔여 -"

보행자나 자동차, 자전거 등과 부딪히는 경우가 있고 동승자가 문을 여는 과정에서 사고가 나더라도 피해보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동승자가 안전을 확인한 다음 문을 열도록 권유해야 할 책임이 운전자에게 있기 때문이다.

문을 닫을때도 조심하자.
자동차의 문을 닫을때는 마지막에 탄 사람이 닫는게 원칙이다.
어른을 모시거나 손님을 배웅할 때 예의를 다한다는 생각에서 밖에서 문을 닫아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잘못해서 손과 발을 다치게 되면 그것처럼 난처한 일도 없을 것이다.

운행이 끝나 차에서 내릴때 문을 세게 닫는 행동도 삼가해야한다.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서 문을 닫을 때 30Cm 정도 되는 위치에서 가벼운 금속성이 울리도록 닫아주어야 한다.
문을 세게 닫는 습관을 들일 경우 왠만한 힘으로는 잘 닫히지 않게 되고 운행중 소음이 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네트를 닫을 때도 높은 위치에서 그대로 놓아서는 안된다.
약 20~30Cm 정도되는 위치에서 가볍게 놓는게 정석이다.
높은 위치에서 놓아버리면 충격을 받게 되고 특히 전조등의 전구가 끊어지거나 전조등의 방향이 틀어져 야간에 곤란을 겪는 원인이 된다.

자동차의 문을 여닫을 때는 창유리를 완전히 올리거나 내려야 한다. 어중간하게 창유리가 내려지 상태에서 문을 여닫다 보면 유리가 파손되거나 그때의 충격으로 창유리가 오르내리지 않는 등 시간적 경제적 손실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금도끼님 만약 이를 무시할 경우 중고차가 되는 서곡이 울려 퍼지게 됩니다..*^^*
---------------------------------------------------------------------------------------

<자동차 예절>
4번. 구**
이런 자동차 예절이 있는줄은 오늘 처음 알았다. 매일 쾅쾅 닫다보니 저런식으로 닫으면 안 닫히는줄 알았다. 다음부터는 자동차 예절을 지키겠다.

7. 김**
앞으로 자동차를 탈 때 조심해야 겠다.

10. 김**
가만히 생각해보면 택시를 타든 자동차를 타든 문을 세게 닫는 것 같았는데 그런모습이 운전자에게 안 좋은 습관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습관을 버리고 동승자에 예절을 지켜가는 내가 되어야겠다. 문 살살 닫자!

16. 박**
자동차 동승 예절...너무 감사합니다. 언젠가 차를 살꺼고 여러곳에서 차를 타고 다니는데 이런 좋은 정보를...감사합니다. 이것을 하나하나 지켜갈 때 그 차는 지키지 않은 차보다 훨씬 멋진차가 되어 있겠죠. 기억하고 꼭 지켜나가야 겠어요.

19. 박**
흥미스러웠다.

30.이**
차가 아닌 다른것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면 좋겠다.

37.한**
차도 알고 타자
.
.
.
이 날은 다른 글감 두 편을 동시에 주고 각자가 느낌이 오는 글에 대한 반응을 적으라고 했기 때문에 이 글에 대해 전원이 다 반응한 것은 아니랍니다.

글을 읽고 난 여러분들의 느낌은 어때요?
저는 처음 이 글을 읽고, 그렇지 않아도 요즈음 차 운행 중에 차 문 쪽에서 소음이 조금 있어서 그런지 '진작에 이 글을 읽었더라면...'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차를 관리하는 사람이나 카풀하는 사람들이나 모두 다 기억하면 좋을 차량관리법이지요?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조회 수 :
751
등록일 :
2002.10.18
09:34:15 (*.43.82.134)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1652/3f4/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1652

장현건

2001.11.30
00:00:00
(*.95.24.70)
하.. 이런 줄도 모르고 남의 차 다 고물 만들어 놨네요. 미안해서 어쩌지? 김종석 선생님 죄송합니다! [10/19-11:46]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