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지역 통일 기행에 다녀와서2....



자유의 다리는 채 100미터도 되지 않는 짧은 다리입니다. 이 다리를 통해 휴전 직후에 한국군 포로 1만 3천명이 귀환했다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살아돌아와 식구들의 품에 안기는 감격을 안으며 희망 속에 돌아온 용사들을 이어준 이 다리는 옛날의 원형을 거의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 다리를 통해 천천히 귀환하고 있는 그 옛날의 국군 장병들을 회상하면서 저도 천천히 그 다리 위를 걸어보았습니다. 오른 쪽 옆으로 새로이 건설한 경의선 철교가 보이고 그 오른 편으로는 전쟁 때 폭격당해 부서진 교각이 드문드문 보입니다.

이윽고 80여미터의 걸음을 걷자 철조망이 통일을 염원하는 글귀와 함께 저를 막아섰습니다. 그래서 제 발걸음도 그만 거기서 멈춰지고 말았습니다.

이 다리는 자유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그 동안 민간에게 접근이 금지돼 오다가 21세기가 열리던 2000년 1월 1일부터 이처럼 개방하고 있다고 합니다. 80여미터의 다리를 가는데 우리는 무려 50여년이라는 긴긴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니 지금 북측과 개성까지의 경의선 철도와 도로 개설을 협의 중이니 다시 이 다리를 넘어 북으로 북으로 이 도로가 이어지기까지는 얼마나 더 긴 세월을 필요로 할른지 아무도 알 수가 없습니다.

다리 왼 편 아래로는 한반도 형상의 연못에서 물결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저 쪽 입구에 가면 연꽃을 파는데 그 것을 사서 여기에 띄우면 북쪽으로 흘러가도록 돼 있다고 합니다. 이제는 통일을 주제로 한 관광 상품도 상당히 많이 개발하고 있다는 것을 이렇게 다니면서 손쉽게 보고 알 수 있습니다. 과거의 냉전식 살벌한 구호 대신에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보여주면서 자본주의가 그 틈을 파고 들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는 뭐든 돈이 될 수 있다면 이를 상품화할 수 있는 재주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강 이편이나 강 저편에 보면 철조망이 튼튼하게 쳐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저 것은 민간인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지 남북의 비무장 지대를 알리는 철책선의 아닙니다. 강 건너도 분명히 우리 측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강을 건너서도 7-8km를 더 가야 북측 경계선이 된다고 합니다.

그 쪽에는 통일촌이 있고 대성동도 있습니다. 대성동은 유엔사 관할로서 성분을 인정할 수 있는 사람들과 전출 하사관을 차출하여 농사짓게하면서 형성한 마을입니다. 이 곳 일대는 그리 높은 산이 별로 없는 벌판입니다. 땅도 비옥해보입니다. 농사 소출도 상당히 많을 듯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제 쌀이 남아돌아서 걱정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중국마저도 이제는 wto체제에 막 들어와 있는 지금이 아닙니까? 중국 만주 지방에서 생산하고 있는 쌀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딱들어 맞는 쌀인데 이 쌀이 우리나라 생산비의 오분의 일 가격으로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니 앞으로 우리나라 농민들은 정말 큰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동안 우리나라 농사는 양을 강조해왔는데 이제는 질적인 면으로 눈길을 돌려야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전제적으로 모든 면이 이제까지와는 다른 체제를 강요당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우리 현실이라고 할 때에 교육 문제에 있어서도 과거의 틀을 바꾸는 안목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생각을 제시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늘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서 올려다 보니까 까맣게 철새들이 남쪽 같아 보이는데 날아가고 있습니다. V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철새들은 이 드넓은 곳 어디서도 구애 받음 없이 자유로이 날고 있는데 사람은 왜 내 나라 내 땅임에도 이렇게 바라보기만 할 뿐 가고 올 수가 없는 것입니까?...누구 탓입니까? 어떻게 해야 이를 허물 수 있는 겁니까?...한참 뒤에 보니까 뒤쳐진 새 한마리가 아까 새 떼가 무리지어 날아가던 방향으로 힘들게 날아가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뒤에 보이는 임진각 건물은 70년대초에 남북 대화하면서 지은 건물인데 남북 관계의 변화에 따라 이 건물의 분위기도 바뀌어 왔다고 합니다. 가장 초기에 지은 건물이기 때문에 이제는 가장 후진 건물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함인호선생님은 설명해주셨습니다.

임진각, 그리고 자유의 다리가 있는 곳을 떠난 것은 11:45분입니다. 버스가 지나가는 길 주변으로 서울역과 신촌역에서 이리로 오도록 신설한 경의선 열차역이 인적은 없으나 산뜻한 모습으로 눈에 들어오기도 했고 어디선가는 판문점 9.5km라는 이정표도 보였습니다. 인적이 없는 한적한 산기슭이나 제방 주변에는 하얀 억새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습니다. 제 기분 때문이었을까요? 그 억새가 우리를 향하여 손을 흔들어주는 것으로는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억새는 억새대로, 우리는 우리대로 제각기 따로 노는 것 같은 이질감이 느껴졌을 뿐입니다.

정오 무렵 통일 전망대에 닿았습니다. 임진강과 그 일대의 남북 초소 등이 한눈에 보이는 곳입니다. 전망대에 오르니 사병 한 명이 눈 앞에 펼쳐진 임진강 일대를 바라보며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멀리 판문점도 보였고 북측의 국기 게양대와 남측의 국기 게양대가 멀리서도 뚜렷이 보이리만큼 높이 세워져 있음을 알리고 있었습니다. 남북이 서로 질세라 국기 게양대 높이를 경쟁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우리야말로 정말 지기 싫어하는 민족이 아니겠습니까? 그런 사람들이 남북으로 대치하고 있으니 오죽하겠느냐는 생각을 했습니다.

통일 전망대에 30분 정도 머물렀다가 장단 콩 축제장으로 갔습니다. 이 곳은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혼잡했습니다. 헌병들의 호루라기 소리가 여기 저기서 울리고 들어오고 나가는 차량들을 안내하는 그들의 발걸음도 바빴습니다.

인솔 책임을 진 이장원선생님께서 주위의 몇몇 선생님들을 오라고 하시더니 막걸리잔을 돌렸습니다. 저는 한 사발도 채 들지 않았음에도 핑 도는 기분이어서 더 권하는 것을 사양해야 했습니다.

장단콩 축제는 매년 한 번씩 열리는데 오늘이 마지막 날이라고 합니다. 함선생님은 우리가 운이 좋아서 이 자리에 참석할 수 있는 행운을 누리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콩도 팔고 음식도 팔고 초등학생들의 태극권 시범 경기도 보여주고 있고 도리깨질도 관광객에게 시키고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가 물씬 묻어나고 있었습니다. 남북이 분단돼 있는 접경 지역에서 이와 같은 흥겨운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을 줄은 사전에 상상하지 못하던 일이었습니다.

우리가 앉아 있는 막걸리 집은 군내 초등학교의 이름이 박힌 차일을 쳐 놓고 있었습니다. 군내 초등학교에서 빌려준 것일까요?...

30분 후에 승차하고 이동하고 있는데 함선생님이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서양인들은 콩을 먹지 않다가 최근에 와서야 콩을 먹기 시작습니다. 세계에서 콩을 가공하여 먹는 민족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극동 아시아 지역에서 콩을 가공하여 먹는 민족은 고작 6-7민족 정도나 될까 생각합니다.

콩은 그냥 먹을 수 없고 발효시켜야 먹을 수 있습니다. 일본 된장 중 미소 된장이 우리 나라 청국장 비슷합니다. 즉 속성 발효시킨 것이지요.

콩의 발효는 일차 발효가 있고 이차 발효가 있습니다. 일차 발효시켜 먹는 민족은 세계에서 7-8개국이 있습니다. 그러나 2차 발효까지 해서 먹는 민족은 우리나라 민족 하나 뿐입니다.

콩 삶아서 메주 만들어 발효시키는데 항아리에 넣어 아침에 열고 저녁에 닫고 그 때 작용하는 균이 효모균입니다. 그런데 이 효모균은 공기가 오염된 곳에서는 잘 발효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것이 세계에서 가장 항암 작용이 큰 우리나라 된장입니다...'

(계속)




조회 수 :
954
등록일 :
2001.11.12
16:22:09 (*.248.247.253)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0028/13e/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00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sort 비추천 수 날짜
3158 R국 잘 다녀왔습니다. [6] 497     2008-08-14
3시간 시차가 나는데도, 아직은 적응이 쉽지 않네요... ^^; 지금쯤 대회 마지막 날 마무리를 하고 계시겠죠? 저희 R국 MK 학습캠프팀은 무사히 잘 다녀왔습니다. 배앓이로 몇명 선생님들이 고생하셨지만, 다행히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선생님들의 달란트를 ...  
3157 독후감-가룟유다 딜레마 [1] file 522     2008-07-23
 
3156 잘 다녀왔습니다! [6] 560     2008-07-20
평양에 잘 다녀왔습니다. 많이 보고, 느끼고, 그리고 그 땅과 사람들을 마음에 품고 돌아왔습니다. 우리와 한 민족임을, 그 땅 역시 우리의 산하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가까운 거리를 멀리 돌고 돌아서 다녀와야 했던 것이 안타깝고, 또 거리와 사람들을 보...  
3155 새로운 홈피가 주는 느낌...여름 !!!! 460     2008-07-01
7월의 시작에 tcf가 여름이 된 듯한 분위기입니다. 수고하신 손길들에 감사의 박수를 보냅니다. 2008년의 반을 보내면서 하나님이 우리를 향한 멋진 계획들을 이루셨고 또 앞으로 이루어가실 그 반을 기대합니다. 아름다워진 tcf의 바탕화면처럼 우리의 삶의 ...  
3154 송인수입니다... 참 오랜만입니다... [7] 690     2008-07-01
오랜 만에 tcf 게시판에 글을 올립니다. 후덥지근한 화요일입니다. 그래도 저는 어제 시청앞 광장에서 있었던 천주교정의구현 사제단의 감동적인 미사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참된 종교의 역할... 역사의 가장 어둠이 깊고 사람들이 절망할 때 한줄기 빛...  
3153 와~ 우!!!! [1] 512     2008-07-01
와~우! 장난 아니네요! 홈페이지 너무 예뻐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3152 리더모임_무주리조트 사진 ^^ [12] 834     2007-10-18
지난 주말에 있었던 리더모임 사진입니다. 총 33장입니다. (도원이랑 주호를 직은 사진이 마지막이에요) 1. 링크를 클릭하신고, 2. F11 키를 누른 다음. 3. 사진을 클릭하면, 다음 사진으로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즐거운 감상되시길 바랍니다. 아래의 링크를 ...  
3151 영상 편집을 하루만에 배우실분 오라~~한병선영상워크샾 [1] 686     2007-06-09
반갑습니다. 한병선입니다. 저를 아시는 분도 계시고 모르시는 분도 계실것입니다. 저는 교사대회때 영상을 만든 사람입니다. 가끔 좋은 교사에 한병선의 프로포즈란 글도 쓰고.. 참고로 여자입니다. 샘들중에 영상에 관심이 있거나 혹은 수업시간에 영상이나 ...  
3150 제40회 겨울수련회 안내문 [1] file 512     2006-12-30
 
3149 저도 잊지 못할 일 492     2006-12-08
한 10년전쯤 수련회에서 저와 한 방을 쓰시던 경상도 여자샘 두분 하시는 말씀 "서울 사람들은 말을 너무 이상하게 해요." 뭔데요? "근육이 뭉쳤다" 그렇게 표현을 하는데 넘 우스워요. 왜 우습죠?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표현하잖아요. 그럼 경상도에서는 근...  
3148 빛고을 광주를 다녀와서... [2] 444     2006-09-24
어느새 게시판의 글이 2000번째를 눈 앞에 두고 있네요. 그만큼 우리 모임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고, 온라인상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지난 번 광주지역 개척 모임에 다녀왔습니다. 8명의 선생님이 모임을 하고 계셨는데, 아...  
3147 어린이캠프선생님께 감사드려요 [2] 585     2006-01-28
제 딸 자랑이 아니라는 것을 서두에 밝힙니다. 두딸을 혼자데리고 수련회에 참가하여 부담감이 많았었는데 어린이캠프운영을 잘 해주셔서 수련회기간동안 큰딸을 제가 챙기지 않아도 되더군요...그래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더 감사했던것은.... 운전...  
3146 부산모임 [인라인 아웃팅 뮤직영상] [9] 591     2004-06-05
함께 웃고 말씀을 전하시는 간사님은 걸음마를 배우고, 처음 말씀을 배우는 곽샘이 간사님을 가르치고, 손잡아 일으켜주는 누군가가 있음이 소중한 어제였습니다. ^^ >  
3145 [필독]아랫글에이름남기신분들 꼭 보세요! [5] 502     2004-05-07
오는 주일(5월 9일)로 유니폼 신청을 마감합니다. 최영철 선생님이 직접 매장에 방문하여 확인한 결과 '아스날' 유니폼으로 결정했습니다. 가격은 상하의(반팔) 유니폼에 축구스타킹을 포함하여 25,000원입니다. 원가격에서 5,000원 정도 DC한 가격입니다. 물...  
3144 캄보디아에서 교사를 구합니다. 448     2002-10-22
안녕하세요 갑자기 넘 추워졌어요 감기 조심하시구요 캄보디아 한인선교사 자녀를 위한 MK 선교사를 모십니다 1. 분 야 : 보육교사(유치부), 국어교사, 예체능 교사 : 2-3명 2. 자 격 : MK 교육에 소명이 있는 세례 교인 이상의 선교 헌신자로 2003년 1월부터 ...  
3143 기독교사대회는 끝났지만... [4] 415     2002-08-10
기독교사대회는 끝났지만... 저는 어제와 오늘까지 대회가 이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어제 바로 집에 오지 않고 루디아선교회 선생님 몇 분과 함께 횡성에 드라이브 갔었지요~ 주님의 도우심으로 지으신 그림같은 전원주택도 구경하고... 어려운 교회 중고등부...  
3142 전형일 샘 득남..... [13] 458     2002-07-02
오늘 아침 6시 50분(?)경 조숙진 샘(형일샘 동거녀)이 아들을 낳았습니다. 어제 TCF 모임을 마치고 무사히 집에 들어갔는데, 새벽에 진통이 와서 병원으로 가 비교적 빨리 낳았다고 합니다. 암튼 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하길 바라면서 형일샘 가정에 웃음꽃이 ...  
3141 그자리에 있다는것만으로.. 381     2002-06-22
주영아! 기독교 축구선수들이 있듯이 우리가 하나님의 빛으로 있다는 그 자리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하나님 기뻐하실거다. 네 모습, 참 아름답고, 친구로, 교사로 그자리에 있어줘서 고맙다.  
3140 Re..3년만입니다. 457     2002-01-18
류소운선생님! 감독생활 중에 가장 뛰어난 여배우를 발견하고 무척 고무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소녀 같으시더니만 벌써 가정을 이루고 어머니가 되셨군요 좋은 엄마 존경받는 선생님 사랑스런 아내로 늘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이젠 자주 볼 수 있겠지요?  
3139 Re..주영 414     2001-12-17
주영. 그대가 아름답습니다. 늘 보아오는 그대가 말입니다. 약간은 투박한듯하나, 촘촘함으로. 연약한듯하나, 끈끈한 힘으로... 그대는 아름답습니다. 그대를 알고 있음에 오늘은 행복합니다. ※ 잘 보았습니다. 연애편지가 아님을 주영자매를 마음에 두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