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는 점점 더 안예뻐지는 것 같습니다.

최근 부산에서는 갑자기 학력증진포로젝트라는 이름으로 교당 천만원씩을 주면서 학생들의 학력을 증진시킬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시행하라고 합니다.

그 학력이란 것이 정말로 학생들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다시말해 배움의 힘을 길러주는 것이라면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그 학력 증진이란 것이 애들을 남겨놓고 혹은 방학때 나오라고 해서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의 과묵들을 가르치느 것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올 10월에 있을 그리고 앞으로는 계속 있을 것이 거의 확실한 전국수준의 성취도 평가에서 부산이 높은 등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나게 할 예정이겠지요 헐...

이 문제와 관련되어 선생님들과 회의를 하면서 부장 선생님들께서 하시는 얘기가  이럴바에야 차라리 다시 옛날처럼 수우미양가 평가로 돌아가고 맨날맨날 시험치고 뒤에 게시판에 등수 매겨서 붙혀놓는게 났겠다라는 이야기였습니다.

실컷 수행평가하라고 그렇게 얘기하더니 이건 또 뭐냐고들 하셨지요

물론 나이가 좀 있으신 선생님들께서는 은근히 예전처럼 돌아가는 것이 차라리 더 편하겠다 생각하시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전 98학번입니다. 흔히 예기하는 건국이래 최초의 정권교체라고 하는 국민의 정부와 함께 대학시절을 시작했습니다.

제가 1학년때 기독교사대회가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그리고 2학년 때는 전교조가 합법화 되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2002년 교직에 첫발을 디뎠던 그때 월드컵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을 지켜 보았습니다.(나름 그때는 편안한 마음으로 군대 다녀오면 되겠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5년이 흘러 지금의 실용정부가 들어섰습니다.(누구를 위한 실용인지는 모르겠지만^^;;OTL)

돌아보니 지난 저의 20대는 흔히 극우진영에서 얘기하는 잃어버린 10년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경제적으로는 그렇지 않지만 정치적으로는 가장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시대에 20를 다 보낸것입니다.

이런 저에게 지금의 4.15교육자율와 조치라든지,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예전 제가 어린시절 때 산업화시대에나 했던 일제고사의 부활과 이상한(?)학력증진을 요구하는 현실은 당황스럽기도 하고 한편으로 우리 반 아이들을 생각하면 불쌍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어제 일본에 살고 있는 친구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그 친구가 이야기 하길 " 현 대통령은 기업인 출신답게 부지런한 것 같다. 쇠고기 수입 문제로 그렇게 정신 없어 하면서도 교육문제나 대운하 문제등은 잊지 않고 꾸준히 추진시키는 걸 보면 대단한 것 같애"라고 하더군요. 에휴-

이제 앞으로 있을 무분별한 민영화와 각종(?)FTA, 그리고 그것에 반대하여 거리로 뛰쳐나올 많은 사람들과 또 그것을 무시하고 우직(?)하게 정책을 추진할 정부를 생각하면 두려운마음부터 듭니다,

한편으로는 교육의 주인이시자 역사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이 한국사회를 어떻게 몰고 가실지 이렇게 이끌어가시는 것이 우리 교회와 기독교사들에게 무엇인가를 하기 원하시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에 남은 30대에 붙들어야할 문제가 바로 이역사의 흐름에대한 답인가 하는 겁없는(?)-혹은 철없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아!! 역시 이야기의 결론이 않나네요ㅠㅜ)

그냥 너무나 아름다워진 TCF홈페이지를 보니 왠지 모를 슬픈마음이 들어

주저리주저리 글을 남깁니다^^

다들 평안하세요^^





조회 수 :
620
추천 수 :
10 / 0
등록일 :
2008.07.04
14:34:56 (*.182.74.2)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7765/6c3/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7765

김정태

2008.07.04
15:14:15
(*.242.29.147)
맨 아래 사진이 너무 이쁘십니다. 왕자님~~!^^
오늘 사회시간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첫번째 강령인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다.'를 보면서 참 많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불과 10년 전까지 대한제국, 왕국이었던 나라가 어쩌다 왕국을 포기하고 공화국을 선택하기에 주저없는 결단을 그 시대의 민족지도자들은 하게 되었을까? 왕에 대한 실망, 백성을 지켜주지 않는 나라에 대한 실망이 너무 컸던 이유가 아니었을까? 또한 이미 그 시대 민중들의 의식 수준을 왕국으로는 담아낼 수 없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머... 이런 이야기를 학생들 앞에서 주절댔답니다. 앨빈토플러의 말대로 정부와 정치는 시민들의 의식수준과 사회변화의 속도를 거의 따르지 못하는 것 같아요. 지금 정부는 그런 변화를 따르지 못해 허덕거리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과거로 역주행을 하려하니 그게 문제입니다. 특히 입시중심의 교육정책을 보다 노골화 하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5년 동안 우리는 어떤 싸움을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안준길

2008.07.04
20:08:19
(*.150.199.152)
최혁준샘이 지적한 학력(學歷)대 학력(學力)은 정말 중요한 주제입니다. 어쩌면 이 시대 교육문제의 핵심을 관통하는 주제라 할만 합니다. 우리가 초등/중등학교에서 보통교육을 하는 사람으로 서있는 존재목적이기도 합니다. 영어선생님은 영어를 통해 바로 그 '학력(學力)'을 길러주고, 읽어야할 책을 소개해주며,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법을 적극적으로 체험하도록 하는 사람이어야겠죠. 그러기에 우리 입시는 너무 잔인한 것이 또하나의 치명적 아픔인 듯 합니다. 조부모의 경제력과 부모의 정보력+경제력이 다 녹아난 성적만으로 학생의 능력을 평가했다고 믿는 이 사회가 세계적으로 보면 우물안 개구리임을 알리는 일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닐까 생각하며 작으나마 꿈심 모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최혁준샘의 그 아픈 마음을 수업 중에 아이들에게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들려주시면 진심이 전해지겠죠. ^^

민들레

2008.07.05
11:18:15
(*.223.147.154)
고민하시고, 갑갑해 하시는 것에 너무나 공감이 되고,
저도, 이젠 정말 다른 교육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욱 하는 마음이 올라오는 하루 하루를 살아 가면서...
꿈을 꿔 봅니다.
상황을 많이 갑갑하게 하시는 하나님,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뭔가 큰 그림을 가지고 우리안에서 만들어 가고 계실거라 믿습니다.
금식하며 함께 기도하는 우리의 기도를 하나님 뜻대로 이끌어 가시고,
하나님 계획을 이루어 가실 때, 순종하며 따라갈 준비를 차곡차곡 하는 하루 하루의 내 삶이 되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 힘 내시길... 선생님, 사랑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3218 사진 전시회를 열며... 1065     2001-10-19
사진 전시회를 열며... 저는 우리 학교의 사진반을 맡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사진반원은 모두 20명입니다. 그러나 대개가 3학년 학생들이므로 실제 활동 인원은 1학년 뿐으로 불과 4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2학년은 한 명도 없습니다. 제가 새학기에 들어...  
3217 가을 지리산 등산기 1008     2001-10-19
2001년 가을 지리산 등산기 2001년 10월 13일 22:50서울역 출발하다. 23:00영등포역에서 일행 8명이 승차하다. 2001년 10월 14일 03:47곡성에 닿다. 04:05구례구역에 도착하다. 졸린 눈을 비비며 승강장에 내려선다. 서늘한 새벽 공기가 뺨을 스쳐간다. 아직 ...  
3216 가을 등산 1539     2001-10-22
매일 밤에만 올라가던 뒷산을 어제는 낮에 등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와 친한 우리 학교의 ㅇㅇ선생님께서 우리 동네의 국립 공원 안에 있는 500여 미터 높이의 유명한 산, 사패산(賜牌山)으로 학생들과 함께 등산하러 오겠다고 하셔서 약속 시각인 정오에 ...  
3215 Re..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903     2001-10-23
김규탁선생님 대단하십니다. 언어도 다르고 모든 것이 다른 일본에 가서 공부하고 있다니...생각만 해도 긴장의 연속에다가 정신이 없을 것 같습니다...외국인이 그 정도도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무슨 재미입니까? ... 잘하고 계신 겁니다. 소식 진정 반갑습니...  
3214 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1072     2001-10-23
안녕하세요. 모두들 주안에서 평안하시지요? 저는 요사이 하루에 몇번씩 시계를 본다든지, 수첩을 본다든지, 오늘 할일을 몇번씩 생각을 하고 또 한다든지, 오늘 할 말에 대해 반복해서 연습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일어난 몇가지 사건이 있었기 때문...  
3213 Re..가을을 선물합니다 873     2001-10-24
홍주영선생님, 정말 아름다운 영상입니다. 가을 정취가 흠뻑배어 있었습니다. 음악과 너무나도 잘 어울려서 정말 훌륭한 가을 선물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대영  
3212 가을을 선물합니다 [1] 1160     2001-10-23
 
3211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05     2001-10-24
선생님, 그 곳을 떠나려는 선생님의 의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만의 하나 현실 도피의 성격이라면 어디가도 그 상황은 선생님을 줄기차게 따라다닐 것입니다. 개도 정면도전하는 사람은 피해가지만 그러지 않고 자기를 피해가려는 사람에게는 귀신 같이 이를 알...  
3210 사랑하는 지체에게 825     2001-10-24
연숙아.. 오랫만이다. 대학 4년을 같이 보내고 같이 훈련 받으면서 참 가까이 있었던 우리였는데 다른 지역으로 발령을 받고.. 또 경산 TCF가 독립을 하면서 참 ,, 얼굴 보는 것이 참 힘들구나 그래도 수련회때마다 1년에 2번 이상은 꼭 봤었는데 이번에는 연...  
3209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90     2001-10-24
음~~~ 연숙이에게 아주 심각한 문제인 것 같구나.... 이 언니가 뭐라고 이야기 해야좋을지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원론적이고 지극히 진부한 이야기만 하자면... 사표를 내고 안내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연숙이가 어떠한 동기로 행동하느냐가 더 중요...  
3208 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909     2001-10-23
안녕하세요? 저는 경산TCF 김연숙입니다. 모두들 잘 지내시죠? 요즘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내년에 대구에 임용고시를 치를지 말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임용고시를 치를려면 지금 10월 말까지 사표를 내야 됩니다. 그렇지...  
3207 29회 수련회 사진값이... 875     2001-10-24
29회 수련회 사진을 발송한 지 오늘로 20일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제가 83분에게 우송을 했으나 입금해주신 분은 어제로 29분입니다. 은행에 가시기가 어려우실 줄은 아오나 그래도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금주 내로 입금을 부탁드립니다. 혹시 사진값이 얼마...  
3206 가장 중요한 것 [2] 1246     2001-10-24
♠♠ 가장 중요한 것 ♠♠ 하반신 마비가 되기 전에 내가 할 수 있었던 일은 1만 가지였다. 그러나.. 이제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9천 가지가 있다. 나는 내가 잃어버린 1천 가지를 후회하며 살 수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내게 가능한 9천 가지를 하면서 살 수도...  
3205 Re..동의 합니다. 921     2001-10-26
저도 선생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사람 사이에 일정한 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른 호칭의 사용도 꼭 필요한 일이고요. 요즘 가을 산이 참 멋있죠?  
3204 애인을 왜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가? 995     2001-10-25
요즘은 여자가 남자 애인을 오빠라는 말로 부르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멋적은 말, 거북한 말입니다. 그래도 혼인 전까지는 그런대로 봐줄 수 있지만...혼인하고 나서까지 오빠라고 부르는데는 .... 제 조카 중에 그런 애가 있습니다. 혼인 전에도...  
3203 Re..김대영선생님! [1] 1162     2001-10-29
연가투쟁하시느라 힘드셨지요? 저는 여러가지 생각이 많았는데 결국 선약이 되어 있던 수학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함께 연대의대에서 열린 기독 학문학회에 참여했습니다. 동일한 시간에 수고하고 계시는 전교조선생님들 생각하며 "교육,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  
3202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24     2001-10-28
원문을 다 읽어보지 못했지만 인용하신 부분의 글이라든가 평소 선생님을 잘 알고 있기에 저도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김대영  
3201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3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00 Re..저도 충격 885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199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09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