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20시부터 서울 여의도에서 전국에서 올라오신 선생님들과 더불어 강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무릅쓰고 밤샘 농성과 다음 날 오후 4:45분 집회가 끝나기까지 계속한 7차 교육과정 저지와 교육 재정 확보를 위한 국민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교조는 조합원들에게 연가투쟁을 지시했고, 이에 대응하여 교육부는 이 연가를 허용하지 말라고 일선 학교에 지시했으며 이를 어긴 교사는 징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한 징계의 위험을 무릅쓰면서도 서울만이 아닌 전국의 수만명의 교사가 이에 참여했습니다...(상주의 홍두준선생님과 남양주의 이민정선생님, 그리고 서울의 동구여중 채승희선생님도 만났습니다)

7차 교육 과정은 미국식 교육 제도를 이 땅에 옮겨오려는 시도입니다. 미국은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라고 합니다. 그에 따라 미국은 교육에 있어서도 빈부 격차가 심한 교육 제도를 갖고 있습니다. 돈 있는 사람은 심지어 연간 교육비가 3만 달라까지 드는 사립학교에 보낼 수도 있고 돈 없는 사람은 그저 슈퍼 마켓에서 일하는 사람 정도나 양성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공립학교에나 자신의 자녀를 보낼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것은 다 좋다는 편견이 교육에 있어서까지 미국 것을 가져오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교육에 있어서만은 빈부격차에 관계 없이 평준화를 이뤄왔습니다. 세상에 문제 없는 제도는 없다고 할 때에 그런대로 이 교육 평준화는 이 땅에서 지난 수십 년간 국민 대다수의 지지를 받아오던 제도입니다. 그럼에도 이를 국민적인 동의의 절차를 거치지도 않은 채 슬며서 초등, 중등 등 우리나라의 교육에 도입해왔고 이제는 내년부터 고등학교에까지 도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한 절차상의 문제가 안고 있는 정책입니다. 우리는 그 동안 7차 교육과정이 뭔지도 모르고 살아왔고 교육부도 그저 이제까지 그래온 과거의 교육과정과 별로 다를 바 없는 정책인 양 이를 호도했습니다. 이래도 되는 것입니까? 이는 정부가 국민을 기만하는 태도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7차 교육 과정은 교육 과정이 아니라 교육의 틀 자체를 아예 바꾸어 버리는 것입니다. 7차 교육 과정이 시행되면 비정규직 교사의 비율이 높아지게 돼 있습니다. 교사의 신분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교장의 권한이 이제까지와 비교할 수 없게 커집니다. 지금도 교장의 권한 남용으로 피해를 보는 교사가 많은 판인데 앞으로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나마 발걸음을 시작한 교사 노조의 힘도 약화하게 돼 있습니다. 교원노조도 유명무실해지고 맙니다.

왜 교사의 처우개선에 대해서는 그렇게나 나 몰라라 하던 교육부가 그렇게나 반대하는 차등 성과급은 기어이 준 것이겠습니까? ... 7차 교육 과정이 시행되면 과원 교사 문제가 반드시 대두합니다. 그 때에 과원 교사를 쫒아내기 위한 명분이 이번 성과급의 속셈이라고 한다면 저더러 과민 반응이라고 웃어넘기시겠습니까?...돈 몇 푼 받고 목줄을 매는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이를 반납하는 운동이 전국에서 노도와 같이 일어났습니다.

사립학교법은 재단의 전횡을 법적으로 보장해주고 있는 악법 중에서도 악법입니다. 재단은 아무리 불법을 저질러도 다시 복귀할 수 있게 법이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이번의 연가 투쟁은 합법입니다. 그런데 집단으로 했다고 해서 수업권 침해다 뭐다 해서 불법으로 치부해버리고 징계하겠다고 야단인데 이렇게나 엄격한 교육부가 재단의 불법은 너그럽게도 눈 감아 주고 있으니 이를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그런데 이 사립학교법을 개정 못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국회의 다수당인 한나라당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나라당에서 사학 재단 보호라는 미명 하에 이를 두둔하고 있습니다. 이는 말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사립 학교의 재단은 재단 법인으로 사회에 바쳐진 재산으로서 개인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재단이 학교 운영비라도 많이 조달하고 있다면 모르겠는데 불과 2% 밖에 조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데도 권한은 100% 행사하려고 하니 이 것이 과연 온당한 처사입니까? 이런 부당한 사학 재단을 옹호하고 있는 이런 정당이 장차 수권 정당이라고 자처하고 있으니 우리가 이를 수용할 수 있습니까?...

정부가 7차 교육 과정을 굳이 고집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말하는 교육 개혁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세상에 정부가 개혁에 앞장서는 나라가 어디 있습니까? ... 그 것은 말 뿐이고 실제는 오로지 공교육 재정을 줄이려고 하는 속셈에서 입니다.

가만히 있어도 점차 학생수가 줄어들 판에 지금 갑작스레 교실을 증축하고 억지로 한 학급 35명으로 하려는 의도도 그런 연장선상에서 하고 있는 일에 다름 아닙니다.

학급 학생만 줄이면 됩니까? 교사의 수급이 중요한 일인데 여러분도 아다시피 한 학급 35명으로 줄여서 늘어나는 학급수만큼 필요한 교사의 증원은 정규직 교사의 증원으로 하지 않고 기간제, 강사 등 비정규직으로 충당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해서 정규직 교사를 줄이고 그만큼 교육 재정을 줄이려고 하는 속셈입니다. 초등의 충초임명 문제도 다 그런 차원에서 진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이해하셔도 사실과 하나도 다를 바 없습니다.

이래서 전국의 교사들이 우리나라 교육의 위기를 절감하고 교육부의 징계 위협에도 서울 여의도로 모여든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에 전국의 TCF선생님들 별로 참석하시지 않은 것을 보고 상당히 실망했습니다. 그런 중에도 상주의 홍두준선생님, 남양주의 이민정선생님, 서울의 채승희선생님을 만나뵈온 것은 정말 큰 기쁨입니다.

선생님들 이대로 가만히 앉아 있을만큼 우리의 교육적 상황은 안이하지 않습니다. 저 역시 거리로 뛰쳐나가고 싶은 사람이 아닙니다. 저도 우리 학교의 분회장으로서 이번에는 연가도 내지 않고 조용히 왔고 일반 분회원들에게는 일과 후에 참여해 달라고 부탁할 만큼 조합원으로서는 몸을 사리는 조합원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참석해서 생각해보니까 온건한 방법으로는 문제가 결코 해결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전교조에서는 이번에도 정부가 콧방구도 꾸지 않을 경우에는 11월에 들어서는 파업에 준하는 투쟁으로 대항하기로 했습니다. 다음에는 저는 이번처럼 조용히 나와서 대회에 참여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제가 교사로서 근무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는 독재 정권은 무너뜨렸으나 그 독재 정권의 하부조직인 제도나 관료는 그대로 온존해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이 여전히 과거 독재 정권처럼 국민의 이익을 침탈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고치지 않고는 우리나라의 교육은 민주 교육이 될 수 없으며 가진 자, 특별한 자만을 위한 교육으로 굴절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히틀러 시대에 나치스는 처음에는 유태인을 잡아갔다고 합니다. 그 때에 기독인과 천주교인들은 우리와 상관 없는 일이라며 구경만 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천주교인인가요? 잡아갔다고 하며, 마지막으로 기독인들을 잡아갔다고 하는데 기독인들이 잡혀갈 때는 구경해주는 사람마저 없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남의 일이 아닙니다. 구경만 하고 있다가는 모두가 당하고 말며 나중에 이를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습니다. 이 일에 대해 왜 저 사람들이 그러는지 알아보시고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대영드림


조회 수 :
1079
등록일 :
2001.10.28
13:55:10 (*.169.190.115)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99946/f2d/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999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sort 비추천 수 날짜
3238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9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37 Re..저도 충격 889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236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13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  
3235 아래글에 리플을 달아주세요. 872     2001-10-27
27이라는 조회회수를 보며 이글을 읽으신 분들이 많이 계심을 알겠네요. "좋은 교사" 11월호 아직 읽지 않으셨나요? 콩트를 꼭!!!읽어보시고 제 글에 리플을 달든지 선생님들의 생각을 새로 써주십시오. 이글에 대한 모니터링을 해서 좋은 교사로 보내려고 합...  
3234 여자는 다 그래 1017     2001-10-27
어제 두 가지의 약속을 뒤로 미루고 오랫만에 오페라를 보러갔습니다. 서울에 올라오기 전까지 1년에 40-50여회의 음악회를 갔고 오페라가 있으면 특히 빠지지 않고 찾아갔었는데 서울에 올라온 이후로 거의 잊고 지내고 있었습니다. 한 때는 오페라의 아리아...  
3233 Re..저희 결혼합니다. [1] 1050     2001-10-28
두 분의 혼인을 축하합니다. 특히 tcf 안에서 맺어진 혼인이기에 더욱 반갑고 기쁩니다...혼인 생활은 이인삼각 경주, 음식점에 가서 음식을 사 먹는 것이 아니라 두 분이 음식을 같이 만들어 먹어야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혼인은 두 사람만의 ...  
3232 저희 결혼합니다. [2] 1115     2001-10-27
저희들 결혼합니다. 많은 분들께 청접장을 드리고 싶지만, 일일이 찾아뵙기가 어려워 이 글로 대신합니다. 1. 일시 : 11월 3일 토요일 오후 4시 30분 2. 장소 : 구미시 금오웨딩 3. 찾아오시는 방법 (1) 승용차 : 구미 IC에서 나온후 신호등에서 좌회전하여, ...  
3231 드디어 ..이제.. 시작합니다. [1] 846     2001-10-27
우리반 아이들과 성경공부를 오늘 드디어.. 이제야.. 시작합니다. 지난 학기에 너무 분주해서(쓸데없이 대전이다. 영주다.. 서울이다..오가느라.. ^^;) 아이들과의 시간을 못 맞췄는데.. 아무리 바빠도 이것만은 놓칠 수 없기 때문에.. 오늘 시작합니다. 기도 ...  
3230 하늘 소망을 향해가는 순례자 [1] 1163     2001-10-28
이번주에 우리집이 이사를 했습니다. 이제는 세를 살지 않아도 되는 비록 대출을 했지만 아무튼 우리집으로 이사를 했습니다.이사짐을 싸면서 참 나에게 많은 것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몇년 살다가 또 다른 곳으로 대학 2학년부터 교직 3년차인 지금...  
3229 존경스러운 김대영 선생님 [1] 1116     2001-10-29
항상 선생님을 뵈면 존경스러워집니다. 저도 선생님의 나이 정도 되었을 때 선생님처럼 할 수 있을까 가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의 열심과 정열, 그리고 시각들 모두 본받고 싶고요 토요일 날 수고하셨습니다. 선생님들의 그런 열정이 불씨가 되어 이 땅의 교...  
» 전교조 연가 투쟁에 참여하고서... 김대영 1079     2001-10-28
26일 20시부터 서울 여의도에서 전국에서 올라오신 선생님들과 더불어 강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무릅쓰고 밤샘 농성과 다음 날 오후 4:45분 집회가 끝나기까지 계속한 7차 교육과정 저지와 교육 재정 확보를 위한 국민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이를 위해 ...  
3227 아래 "좋은교사" 콩트에 대한 건 [1] 1017     2001-10-29
"좋은 교사"게시판에 글을 올렸더니 정원종선생님이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 저는 공개사과를 요구했습니다. 그분이 "좋은교사" 교사용 성경교재까지 집필하는데 비성경적인 사고방식으로 사고하는 분이라면 그 부분에도 문제가 있겠다싶어서 다음호 "좋은 교...  
3226 Re..예쁜 윤선하선생님! [1] 1303     2001-10-30
아침에 상큼한 글 잘 읽었어요. 그렇게 예쁜 마음,하나님도 기뻐하실것 같구요. 오늘도 아이들과 그렇게 예쁜 마음으로 잘지내는 하루되길... 그냥 반가와서 몇자 적었어요.  
3225 내가 좋아 하는 것 1020     2001-10-29
조금 외롭다 느껴질때 때마침 내리는 비를 좋아한다. 우산을 받쳐들고 한참을 걸어다녀서 적당히 무거워진 내 청바지를 좋아한다. 생각하면 웃음짓게 만드는 기억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흘러간 옛 노래를 좋아한다. 그 노래를 더 듣기 위해서 내려야할 정류소를...  
3224 오랜만에 만난 민선이 1156     2001-10-30
저번주부터 민선이가 며칠째 학교에 오지 않았다. 1학기 때도 한달에 몇번씩은 학교를 결석해서 그 이유를 물어보면 아파서라고 했다. 1학기 때 아이들에게 당신은 사랑받기위해 태어난 사람을 수화로 가르쳐주는데 민선이가 참 잘했다.그래서 어떻게 잘하냐고...  
3223 교육, 그래도 희망은 있다! - 자료집 1099     2001-10-30
지난 10월 27일, 제18회 기독학문학회를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잘 마쳤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미처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학회 자료집을 판매합니다. 가격은 6,000원이며 신청하실 분들은 dew1981@kornet.net나 02-745-7237(8)로 연락주십시오.(우편...  
3222 지역 대표님들께... 946     2001-10-30
TCF 지역 역사 자료 모집 및 지역 판넬 수련회중 전시 Ⅰ.TCF 지역 역사 자료 모집 1. 과거 지역 모임의 목표 및 방향, 주제 성구 연도별로 있었던 행사 및 대표, 장소등의 변천에 대한 요약 (연혁) 과거 초창기 세워질 때의 모습 초창기 멤버와는 인터뷰 내용 ...  
3221 Re..어제 아이들에게 보여주었어요~^^ [3] 1139     2001-11-01
안그래도 저도 올리고 싶었는데.... 우리반 아이들에게도 보여주었답니다. 어제와 오늘 점심시간과 남는 시간을 이용해서요~ 그리고 레나마리아 수기가 만화로 각색되어 나온 책을 학급문고로 비치해 두었더니 많은 아이들이 읽더군요. 그리고 어제 많은 아이...  
3220 두팔이 없고 한쪽 발이 짧은 레나 마리아의 찬양 [2] 1340     2001-10-31
뉴스와 .. 노래 장면이 있습니다.. 세계적 가스펠 가수.. 두 팔이 없고.. 한쪽 다리가 짧지만.. 아름다운 가수.. 레나 마리아의 찬양을 들어보세여..  
3219 Re..예레미아를 묵상하며-신앙의 다양한 모습 772     2001-11-02
그런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복음 안에 숨어서 사회 문제에 무관심한 경우들을요. 그런 모습에 상처를 받기도 했구요.. '어쩜 저럴 수 있을까?' 그래서 저의 신앙은 한쪽으로 치달았던것 같습니다. (기독교 사회운동으로) 그런데 친구의 대화를 통해서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