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 교대 폐지를 절대 반대한다!
(블로그 '꿈꾸는 소년' / 비잔티움 / 2008-12-26)



'교사, 방학기간 무임금 방안 고려' <-- 2008년 12월 25일 CNBNEWS 기사

정부는 공교육강화를 위한다는 명분하에 사범대와 교육대를 폐지하는 대신 로스쿨처럼 교육전문대학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바른 교육이 들어서기 위해서는 훌륭한 교사가 이끌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교사 양성은 사대와 교대를 통한 획일적 교사 양성으로 학생들에게 창조적인 교육을 가르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인재들이 교직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또 각 학교가 학교 특성에 맞는 교사들을 자유롭게 채용해 학생들의 재능을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교원양성제도 하에서는 4년제 대학인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을 나오면 임용고사에 응시하여 교사 자격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방안에 의하면 2~3년의 대학원 과정을 필수로 거쳐야 한다. 교사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 2년 이상을 더 기다려야 할 뿐만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 학부 과정보다 등록금이 쌀 리는 없으므로 이는 엄청난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결국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중산층 이상의 학생들만 교직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결국,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취지는 말은 그럴싸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최근 전교조 사태나 일제고사 거부 사태, 역사교과서 파동 등에서 볼 수 있듯이 현정부가 교육계를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방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해규 위원(한나라당)과 (사)한국학교교육연구원 공동 주최로 지난달 17일 국회헌정 기념관 세미나실에서 '교육전문대학원 법제화를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 한국교육신문 이동주 기자  


아무래도 중산층 이상의 학생들은 삶에 여유가 있기에 일반 대중에 비해 사회에 불만도 적고, 체제 순응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가 교사들을 통제하기 한결 수월해진다. 게다가 대학원 입시전형은 학부 입시전형에 비해 대단히 자의적이기 때문에 학창시절 운동권에 몸담은 적이 있다든지, 면접 과정에서 사상이 불순해 보인다든지 하는 등의 소위 좌빨스러운 학생들을 원천적으로 걸러 낼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교사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 2~3년을 더 공부해야 하니 대학의 입장에서도 횡재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만큼 등록금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로스쿨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학들이 쌍수들고 환영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위 방안이 좌초될 우려가 보이면 각 대학의 총장들이 삭발투쟁이라는 쇼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고보니 교육전문대학원의 도입 취지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야기이다. 그렇다. 로스쿨 도입을 하면서 명분으로 내건 사항과 몹시 흡사하다. "법대와 사법연수원을 통한 획일적 법조인 양성으로 국민들에게 다양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인재들이 법조직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고 또 각 로펌이 로펌 특성에 맞는 변호사들을 자유롭게 채용해 국가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필자가 <로스쿨은 이미 귀족들만의 돈잔치>라는 글에서 언급했듯이, 로스쿨은 서민들의 법조계 진출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로스쿨 합격생들의 언동을 보니 ㅡ 가령, 학비가 비싸면 장학금을 타면 된다는 발상 ㅡ 일반 대중과는 유리된 다른 세상 사람과 같았다. 만일 사대와 교대가 폐지되고 교원전문대학원이 도입된다면 로스쿨만큼은 아니겠지만 일반 대중과는 사뭇 다른 독특한 부류의 교사집단이 출현할지도 모르겠다. 말로는 서민을 위한다지만 서민의 실상을 전혀 모르는...



※ 출처 - http://byzantine.tistory.com/entry/사대-교대-폐지를-절대-반대한다




ⓒ 비잔티움


--------------------------------------------------------------------------------



답이 아닌 교육전문대학원
(경향신문 / 한병선 / 2008-12-24)



교육전문대학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교육 서비스를 향상시킨다는 취지다. 한나라당 임해규 의원이 추진하고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처럼 교원 양성도 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18대 정기국회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에 교육계가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공청회에 전국의 교대, 사대 교수 등 관련 당사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빈 자리를 찾기 힘들 정도였다. 여기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로스쿨과 같은 4+2모형, 아예 박사과정까지 포함하는 4+2+3체제, 그 밖에 여러 안들이 쏟아져 나왔다. 모아 말하면 교사들의 학력을 의사나 변호사들 수준으로 올리자는 것이다.

교사들이라고 로스쿨이나 의학전문대학원 같은 시스템을 만들지 못할 이유는 없다. 지금보다 더 나은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만 있다면 그 이상의 무엇인들 못하겠는가. 하지만 문제가 있다.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를 만들면 지금보다 더 좋은 교육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 그렇지 않다. 수학연한은 현재의 교대, 사대에 교육대학원 정도면 차고 넘친다. 결코 수학연한이 짧아서 전문성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핵심은 교직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과 교육적 가치관 부재다. 이것이 주인(主因)이다. 지금까지 교직 적성을 갖춘 자원을 제대로 가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우수한 자원이 몰려도 교직을 단순히 안정성 높은 직장 정도로만 생각한다면 문제란 얘기다.

실제로 이런 생각으로 교직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다. 최근 교직이 인기직종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세태의 반영이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 "할 것 없으면 선생이나 하지"란 말, 외생(外生)변수가 없는 한 남자들에게 기피되는 현실과 견주어 본다면 쉽게 알 수 있다. 교사는 더 좋은 직장이 많아도, 직업의 안정성이 아니어도 교직 목표가 뚜렷한 사람들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대와 사대 입시에서 교직 적성자를 제대로 가릴 수 있는 스크린 장치의 개발이 우선이다.

부연이지만, 이런 인기현상이 교직사회를 더 어렵게 만들 가능성도 있다. 뒤집어 말하면 교직 적성을 갖춘 자원들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장벽이 되는 탓이다.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현실에 의해 교직이 인기라는 것은 교직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개선과 별개이기 때문이다.

다시 본론으로 와서, 교사는 아이들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교육에 의해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란 신념이다. 이런 교직 적성이 바탕이 되었을 때 비로소 좋은 교사가 될 수 있다. 단순히 교육전문대학원과 같은 교육기간의 연장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현재의 교원 양성체제에서도 교직 적성자를 제대로 선발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가방 끈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 한병선 / 교육평론가·문학박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2241737495&code=990304)


원문 주소 -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1&uid=188992

조회 수 :
790
추천 수 :
3 / 0
등록일 :
2008.12.28
20:00:51 (*.36.184.15)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205/716/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205

오흥철

2009.01.06
23:17:53
(*.108.233.80)
저는 이 글을 보면서 약간 우려가 되는 것이... 대학원 자체의 불필요성을 우리들이 주장하게 되면, 그렇게 오해받으면 굉장히 위험한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저는 수학연한이... 지금 와서 돌이켜 보면 짧다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그것을 많이 느꼈던 것은... 교과교육론과 교육실습의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교과교육론 및 교과교재연구및 지도법 수업이 달랑 2개, 교육실습이 달랑 1개로 실전훈련을 하기 어렵고, 일반 직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인 대학 졸업한 사람이 바로 직장에 적응받지 못하고 회사에서 재교육을 시켜야 하는 일이 교직에서도 벌어지기 때문이었습니다. 실제로 중등 임용고시 해당 과목에서 차석으로 들어온 선생님이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기도 해서입니다. 물론 그 선생님의 경우만 놓고 보면 예외로 들 수도 있겠지만, 지금 막 발령받은 선생님들 중 어느 정도 이상의 노련함을 가진 분들은... 드물지요. 특히 대학졸업하자마자 발령받은 선생님들... 제 말이 아니라고 하실 수 있나요...

물론 지금과 제가 사범대학 다닐 당시가 같을 리는 없겠지요. 하지만, 후임 선생님들을 보고 교생 선생님들을 교육시키다 보면... 사대 4년만 공부하고 선생님 되겠다는, 되어도 된다는 생각이 위험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대학 갓 졸업하자마자 발령받은 선생님이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마친 뒤 교육대학원까지 졸업하고 발령받은 선생님을 보고 부끄러운 줄은 알아야지요... 우리들의 주장이 그런 주장이라면 이건 쉽게 찬성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지금 정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전문대학원 제도가 대학 4년동안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안 한 사람도 들어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긴 하지만, 사대 혹은 교직과정을 한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들어가고, 전문대학원에서 앞서 언급한 교과교육론/교과교재연구및 지도 및 실습이 일정 부분 주어진다면... 반대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모르겠습니다. 선생님들과 생각이 다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 몇 자 적어 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3038 기쁜날 12월 3일 [2] 445     2001-12-04
참 기쁜날이었습니다. 하얀 첫눈이 펑펑 대구에 왔던 것입니다. 또 하나 기쁜건 오늘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동기 선생님들끼리 같이 밥을 먹었는데 박은미 선생님(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발령동기이고 지금은 동학년인 친구 선생님)이 이번주에 우리 교회에도 ...  
3037 Re..개인적인 질문 361     2001-12-05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반갑군요. 저도 대학시절 ivf활동을 했었습니다. 앞으로 왕성한 활동을 기대할게요  
3036 Re..개인적인 질문 435     2001-12-05
경기도 하남시의 고골초등학교에 작년에 초임 발령을 받았습니다. 전에 수원중앙기독초등학교에 계신 선생님 글이라며 소개하며 띄운적이 있어 잘못 아셨나 보네요. 실명... 그리해야 되겠지요. 춘천에 있을 적 춘천tcf에서 알게 된 선생님들과 tcf 게시판에서...  
3035 Re..개인적인 질문 437     2001-12-05
선생님이 가끔씩 올려주시는 글 인상깊게 잘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이 나희철선생님 맞으신가요? 맞으시면 앞으로 실명으로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누구나 실명으로 올리는 것은 쑥스럽고 어색합니다. 하지만 이 곳은 그런 것을 넘어서는 나눔의 장...  
3034 못난 고백... 499     2001-12-05
내가 밟아가는 길... 이런 일도 저런 일도 있겠지만 묵묵히 한 걸음 두 걸음 계속 나아갔을 때, 세월 흘러 뒤돌아보노라면 하나의 의미있는 발자국 스토리를 만들어 주신 하나님에 감사 감사하겠지. 그리고 행복해 하겠지 하며... 그런 내 인생 소망했습니다. ...  
3033 Re..저는 9GB 373     2001-12-05
강정훈 선생님께 위로의 글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컴퓨터의 자료를 여러 가지의 이유로 잃어버리면 참으로 암담합니다. 자료의 양도 어마어마하거니와 백업본이 있어도 그 사이의 작업이 사라지기에 ... 저는 올해 초에 9GB의 ...  
3032 죄송합니다. 하나님 384     2001-12-05
어제 가지고 있던 제 노트북의 시스템이 망가져서 그 동안 가지고 있던 파일들이 잔뜩 날라갔어요... 원래 데스크 북에 백업본이 있었는데 저희 학교에 컴퓨터가 없는 분이 계시고 저는 노트북과 두대를 사용하는 것이 걸리기도 해서 제가 선심을 쓰는셈 치고 ...  
3031 형 멋있어요. 558     2001-12-05
- 선교회 게시판에 공개구혼을 띄운 칠섭형 글에 단 답글입니다. - 아침 자습시간... 형의 글이 있어... 그런데 으잉~~ 읽으며 한참 웃었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치며 여전히 작은 미소가 피네요. 용기있는 형의 모습이 좋네요. 형이 그럴 수 있음은 형이 순수...  
3030 Re..아는데로.. ^^ [1] 476     2001-12-05
안녕하세요. 아마.. 제가 아는 형제 같은데요. 지난 2회 기독교사대회때 정말 열심히 섬겨 주셨던 형제 ...의 모습이 생각나서 잠시 감사기도 드렸습니다. 저는.. 그때 아주 허술하게 자봉관리를 했던 윤선하 라고 합니다. 혹시 기억하실른지.. 빨간 조끼, 베...  
3029 아쉽네요.. 수련회에 못갈 것 같아서.. [1] 595     2001-12-05
샬롬!! tcf 모든 선생님 여러분.. 저는 한국교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4학년 김효수 형제입니다.. 아직도 작년 우리 학교에서 있던 기독교사 대회의 감격이 가끔씩 떠올려 지곤 한답니다.. 저는 1회때 이어 2번을 자원봉사로 대회를 참석했습니다.. 예비교사...  
3028 그럼 저희 카페에 오셔서(김영애 선생님) 352     2001-12-06
김영애 선생님, 그럼 저희 카페에 오셔서 제가 올린 거 가져가세요. 어떻게 하냐면요. 저희 카페 배너를 클릭하시면 저희 카페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그럼 왼쪽에 있는 여러 게시판 중에 예쁜 세상이라는 것이 있거든요. 그곳을 클릭하셔서 게시판 중에 눈...  
3027 따뜻한 글, 목양자료 많이 있어요 439     2001-12-06
따뜻한 글, 목양자료 많이 있어요 반가워요. 교회를 잘 섬기려면 자료가 많이 필요하지요? 아래 웹사이트를 방문하시면 목양을 위한 여러 자료들이 많이 있어요. 목사님들과 선교사님들과 전도사님들은 물론 평신도 지도자들에게도 유익한 자료들이 많은데 강...  
3026 거룩한 부담? 403     2001-12-06
오늘은 시험기간 마지막 날 아침... 어제 감독을 많이 들어갔는가 싶더니만 오늘 두시간 시험인데도 감독이 없어서 이렇게 아침 나절 계속해서 게시판들을 다니고 있습니다. 자주 그런 것을 보고 늘 생각해 온 문제인데... 자유게시판이나 교단일기, 주제가 있...  
3025 Re..심은희 선생님 567     2001-12-06
심은희 선생님!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 아픔이 얼마나 큰지 저는 너무도 잘 압니다. 우리에겐 영원한 천국의 소망이 있지만 다시 만날 기약이 있지만 아픔은 아픔이지요. 내일 내려가서 뵐게요  
3024 심은희 선생님 [2] 641     2001-12-06
어제 늦께 어머님이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가셨습니다. 담대한 선생님의 목소리가 더 마음이 아파옵니다. 가족들의 마음에 평안을 주시길 기도해 주십시요. 그리고 아버님께도 마음의 위로와 평안을 기도해 주십시요. 근데 전 오늘 병원에서 선생님을 만나면 ...  
3023 Re..TCF수련회 자녀동반문의 352     2001-12-07
안녕하십니까? 대구입니다. 지금 계획은 babysitter 2명을 영입하여 아이들을 그들에게 맡길 예정입니다. 숙은 작은방이 몇 개 있어서 강사, 본부, 임산부, 가족동반순서대로 드릴 예정입니다. 식은 아이들끼리 같이 먹을 예정입니다. 토요일에 준비모임에서 ...  
3022 TCF수련회 자녀동반문의 356     2001-12-06
문의 드립니다. 수련회때 자녀동반시 1인당 10,000원으로 공지가 되었던데.... 초등 2년 여학생 딸애를 데리고 가고 싶은데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어떤 것인지? 숙식은 따로 하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3021 내가 아는 따뜻한 한 형제가 있습니다. 447     2001-12-06
- tem 게시판에 제 양육 리더를 생각하며 띄운 글이랍니다,- 내가 아는 한 형제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어려워 하기도 합니다. 그의 겉모습이 풍기는 느낌과 하는 말들 때문인지... 그를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은 그의 회의적인 말들과 직설적인 말에 간혹 ...  
3020 최고의 작품 430     2001-12-07
모든 진흙덩이가 그렇듯이 질그릇으로 최고의 작품이 되어서 왕궁의 식탁이나 부잣집의 장식장에 올라가는 것이 최고의 꿈이었다. 다행인 것은 우리들의 토기장이가 이 나라 최고의 장인이란 것이었다. 그가 만든 그릇들은 거의 다 왕궁이나 부잣집으로 팔려...  
3019 기독교사는 어떤 자리에? 356     2001-12-07
오늘 오후 우리학교 전교조 선생님들의 중요한 모임이 있습니다. 교육청 시험 거부투쟁(?)에 관한 입장 결정 이죠. 1/3정도가 전교조 멤버라 학교측에서는 여기의 움직임을 주목합니다. 어떻게 결정 나느냐에 따라 학교가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고 교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