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20시부터 서울 여의도에서 전국에서 올라오신 선생님들과 더불어 강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무릅쓰고 밤샘 농성과 다음 날 오후 4:45분 집회가 끝나기까지 계속한 7차 교육과정 저지와 교육 재정 확보를 위한 국민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교조는 조합원들에게 연가투쟁을 지시했고, 이에 대응하여 교육부는 이 연가를 허용하지 말라고 일선 학교에 지시했으며 이를 어긴 교사는 징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한 징계의 위험을 무릅쓰면서도 서울만이 아닌 전국의 수만명의 교사가 이에 참여했습니다...(상주의 홍두준선생님과 남양주의 이민정선생님, 그리고 서울의 동구여중 채승희선생님도 만났습니다)

7차 교육 과정은 미국식 교육 제도를 이 땅에 옮겨오려는 시도입니다. 미국은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라고 합니다. 그에 따라 미국은 교육에 있어서도 빈부 격차가 심한 교육 제도를 갖고 있습니다. 돈 있는 사람은 심지어 연간 교육비가 3만 달라까지 드는 사립학교에 보낼 수도 있고 돈 없는 사람은 그저 슈퍼 마켓에서 일하는 사람 정도나 양성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공립학교에나 자신의 자녀를 보낼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것은 다 좋다는 편견이 교육에 있어서까지 미국 것을 가져오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교육에 있어서만은 빈부격차에 관계 없이 평준화를 이뤄왔습니다. 세상에 문제 없는 제도는 없다고 할 때에 그런대로 이 교육 평준화는 이 땅에서 지난 수십 년간 국민 대다수의 지지를 받아오던 제도입니다. 그럼에도 이를 국민적인 동의의 절차를 거치지도 않은 채 슬며서 초등, 중등 등 우리나라의 교육에 도입해왔고 이제는 내년부터 고등학교에까지 도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한 절차상의 문제가 안고 있는 정책입니다. 우리는 그 동안 7차 교육과정이 뭔지도 모르고 살아왔고 교육부도 그저 이제까지 그래온 과거의 교육과정과 별로 다를 바 없는 정책인 양 이를 호도했습니다. 이래도 되는 것입니까? 이는 정부가 국민을 기만하는 태도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7차 교육 과정은 교육 과정이 아니라 교육의 틀 자체를 아예 바꾸어 버리는 것입니다. 7차 교육 과정이 시행되면 비정규직 교사의 비율이 높아지게 돼 있습니다. 교사의 신분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교장의 권한이 이제까지와 비교할 수 없게 커집니다. 지금도 교장의 권한 남용으로 피해를 보는 교사가 많은 판인데 앞으로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나마 발걸음을 시작한 교사 노조의 힘도 약화하게 돼 있습니다. 교원노조도 유명무실해지고 맙니다.

왜 교사의 처우개선에 대해서는 그렇게나 나 몰라라 하던 교육부가 그렇게나 반대하는 차등 성과급은 기어이 준 것이겠습니까? ... 7차 교육 과정이 시행되면 과원 교사 문제가 반드시 대두합니다. 그 때에 과원 교사를 쫒아내기 위한 명분이 이번 성과급의 속셈이라고 한다면 저더러 과민 반응이라고 웃어넘기시겠습니까?...돈 몇 푼 받고 목줄을 매는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이를 반납하는 운동이 전국에서 노도와 같이 일어났습니다.

사립학교법은 재단의 전횡을 법적으로 보장해주고 있는 악법 중에서도 악법입니다. 재단은 아무리 불법을 저질러도 다시 복귀할 수 있게 법이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이번의 연가 투쟁은 합법입니다. 그런데 집단으로 했다고 해서 수업권 침해다 뭐다 해서 불법으로 치부해버리고 징계하겠다고 야단인데 이렇게나 엄격한 교육부가 재단의 불법은 너그럽게도 눈 감아 주고 있으니 이를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그런데 이 사립학교법을 개정 못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국회의 다수당인 한나라당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나라당에서 사학 재단 보호라는 미명 하에 이를 두둔하고 있습니다. 이는 말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사립 학교의 재단은 재단 법인으로 사회에 바쳐진 재산으로서 개인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재단이 학교 운영비라도 많이 조달하고 있다면 모르겠는데 불과 2% 밖에 조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데도 권한은 100% 행사하려고 하니 이 것이 과연 온당한 처사입니까? 이런 부당한 사학 재단을 옹호하고 있는 이런 정당이 장차 수권 정당이라고 자처하고 있으니 우리가 이를 수용할 수 있습니까?...

정부가 7차 교육 과정을 굳이 고집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말하는 교육 개혁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세상에 정부가 개혁에 앞장서는 나라가 어디 있습니까? ... 그 것은 말 뿐이고 실제는 오로지 공교육 재정을 줄이려고 하는 속셈에서 입니다.

가만히 있어도 점차 학생수가 줄어들 판에 지금 갑작스레 교실을 증축하고 억지로 한 학급 35명으로 하려는 의도도 그런 연장선상에서 하고 있는 일에 다름 아닙니다.

학급 학생만 줄이면 됩니까? 교사의 수급이 중요한 일인데 여러분도 아다시피 한 학급 35명으로 줄여서 늘어나는 학급수만큼 필요한 교사의 증원은 정규직 교사의 증원으로 하지 않고 기간제, 강사 등 비정규직으로 충당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해서 정규직 교사를 줄이고 그만큼 교육 재정을 줄이려고 하는 속셈입니다. 초등의 충초임명 문제도 다 그런 차원에서 진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이해하셔도 사실과 하나도 다를 바 없습니다.

이래서 전국의 교사들이 우리나라 교육의 위기를 절감하고 교육부의 징계 위협에도 서울 여의도로 모여든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에 전국의 TCF선생님들 별로 참석하시지 않은 것을 보고 상당히 실망했습니다. 그런 중에도 상주의 홍두준선생님, 남양주의 이민정선생님, 서울의 채승희선생님을 만나뵈온 것은 정말 큰 기쁨입니다.

선생님들 이대로 가만히 앉아 있을만큼 우리의 교육적 상황은 안이하지 않습니다. 저 역시 거리로 뛰쳐나가고 싶은 사람이 아닙니다. 저도 우리 학교의 분회장으로서 이번에는 연가도 내지 않고 조용히 왔고 일반 분회원들에게는 일과 후에 참여해 달라고 부탁할 만큼 조합원으로서는 몸을 사리는 조합원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참석해서 생각해보니까 온건한 방법으로는 문제가 결코 해결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전교조에서는 이번에도 정부가 콧방구도 꾸지 않을 경우에는 11월에 들어서는 파업에 준하는 투쟁으로 대항하기로 했습니다. 다음에는 저는 이번처럼 조용히 나와서 대회에 참여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제가 교사로서 근무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는 독재 정권은 무너뜨렸으나 그 독재 정권의 하부조직인 제도나 관료는 그대로 온존해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이 여전히 과거 독재 정권처럼 국민의 이익을 침탈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고치지 않고는 우리나라의 교육은 민주 교육이 될 수 없으며 가진 자, 특별한 자만을 위한 교육으로 굴절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히틀러 시대에 나치스는 처음에는 유태인을 잡아갔다고 합니다. 그 때에 기독인과 천주교인들은 우리와 상관 없는 일이라며 구경만 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천주교인인가요? 잡아갔다고 하며, 마지막으로 기독인들을 잡아갔다고 하는데 기독인들이 잡혀갈 때는 구경해주는 사람마저 없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남의 일이 아닙니다. 구경만 하고 있다가는 모두가 당하고 말며 나중에 이를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습니다. 이 일에 대해 왜 저 사람들이 그러는지 알아보시고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대영드림


조회 수 :
1079
등록일 :
2001.10.28
13:55:10 (*.169.190.115)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99946/9cd/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999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3218 사진 전시회를 열며... 1068     2001-10-19
사진 전시회를 열며... 저는 우리 학교의 사진반을 맡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사진반원은 모두 20명입니다. 그러나 대개가 3학년 학생들이므로 실제 활동 인원은 1학년 뿐으로 불과 4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2학년은 한 명도 없습니다. 제가 새학기에 들어...  
3217 가을 지리산 등산기 1010     2001-10-19
2001년 가을 지리산 등산기 2001년 10월 13일 22:50서울역 출발하다. 23:00영등포역에서 일행 8명이 승차하다. 2001년 10월 14일 03:47곡성에 닿다. 04:05구례구역에 도착하다. 졸린 눈을 비비며 승강장에 내려선다. 서늘한 새벽 공기가 뺨을 스쳐간다. 아직 ...  
3216 가을 등산 1541     2001-10-22
매일 밤에만 올라가던 뒷산을 어제는 낮에 등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와 친한 우리 학교의 ㅇㅇ선생님께서 우리 동네의 국립 공원 안에 있는 500여 미터 높이의 유명한 산, 사패산(賜牌山)으로 학생들과 함께 등산하러 오겠다고 하셔서 약속 시각인 정오에 ...  
3215 Re..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904     2001-10-23
김규탁선생님 대단하십니다. 언어도 다르고 모든 것이 다른 일본에 가서 공부하고 있다니...생각만 해도 긴장의 연속에다가 정신이 없을 것 같습니다...외국인이 그 정도도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무슨 재미입니까? ... 잘하고 계신 겁니다. 소식 진정 반갑습니...  
3214 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1073     2001-10-23
안녕하세요. 모두들 주안에서 평안하시지요? 저는 요사이 하루에 몇번씩 시계를 본다든지, 수첩을 본다든지, 오늘 할일을 몇번씩 생각을 하고 또 한다든지, 오늘 할 말에 대해 반복해서 연습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일어난 몇가지 사건이 있었기 때문...  
3213 Re..가을을 선물합니다 876     2001-10-24
홍주영선생님, 정말 아름다운 영상입니다. 가을 정취가 흠뻑배어 있었습니다. 음악과 너무나도 잘 어울려서 정말 훌륭한 가을 선물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대영  
3212 가을을 선물합니다 [1] 1167     2001-10-23
 
3211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10     2001-10-24
선생님, 그 곳을 떠나려는 선생님의 의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만의 하나 현실 도피의 성격이라면 어디가도 그 상황은 선생님을 줄기차게 따라다닐 것입니다. 개도 정면도전하는 사람은 피해가지만 그러지 않고 자기를 피해가려는 사람에게는 귀신 같이 이를 알...  
3210 사랑하는 지체에게 829     2001-10-24
연숙아.. 오랫만이다. 대학 4년을 같이 보내고 같이 훈련 받으면서 참 가까이 있었던 우리였는데 다른 지역으로 발령을 받고.. 또 경산 TCF가 독립을 하면서 참 ,, 얼굴 보는 것이 참 힘들구나 그래도 수련회때마다 1년에 2번 이상은 꼭 봤었는데 이번에는 연...  
3209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93     2001-10-24
음~~~ 연숙이에게 아주 심각한 문제인 것 같구나.... 이 언니가 뭐라고 이야기 해야좋을지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원론적이고 지극히 진부한 이야기만 하자면... 사표를 내고 안내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연숙이가 어떠한 동기로 행동하느냐가 더 중요...  
3208 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914     2001-10-23
안녕하세요? 저는 경산TCF 김연숙입니다. 모두들 잘 지내시죠? 요즘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내년에 대구에 임용고시를 치를지 말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임용고시를 치를려면 지금 10월 말까지 사표를 내야 됩니다. 그렇지...  
3207 29회 수련회 사진값이... 878     2001-10-24
29회 수련회 사진을 발송한 지 오늘로 20일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제가 83분에게 우송을 했으나 입금해주신 분은 어제로 29분입니다. 은행에 가시기가 어려우실 줄은 아오나 그래도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금주 내로 입금을 부탁드립니다. 혹시 사진값이 얼마...  
3206 가장 중요한 것 [2] 1250     2001-10-24
♠♠ 가장 중요한 것 ♠♠ 하반신 마비가 되기 전에 내가 할 수 있었던 일은 1만 가지였다. 그러나.. 이제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9천 가지가 있다. 나는 내가 잃어버린 1천 가지를 후회하며 살 수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내게 가능한 9천 가지를 하면서 살 수도...  
3205 Re..동의 합니다. 928     2001-10-26
저도 선생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사람 사이에 일정한 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른 호칭의 사용도 꼭 필요한 일이고요. 요즘 가을 산이 참 멋있죠?  
3204 애인을 왜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가? 1000     2001-10-25
요즘은 여자가 남자 애인을 오빠라는 말로 부르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멋적은 말, 거북한 말입니다. 그래도 혼인 전까지는 그런대로 봐줄 수 있지만...혼인하고 나서까지 오빠라고 부르는데는 .... 제 조카 중에 그런 애가 있습니다. 혼인 전에도...  
3203 Re..김대영선생님! [1] 1165     2001-10-29
연가투쟁하시느라 힘드셨지요? 저는 여러가지 생각이 많았는데 결국 선약이 되어 있던 수학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함께 연대의대에서 열린 기독 학문학회에 참여했습니다. 동일한 시간에 수고하고 계시는 전교조선생님들 생각하며 "교육,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  
3202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30     2001-10-28
원문을 다 읽어보지 못했지만 인용하신 부분의 글이라든가 평소 선생님을 잘 알고 있기에 저도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김대영  
3201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9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00 Re..저도 충격 889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199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13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