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문제..그리고 우리의 문제들...(트로이 목마효과)

어렸을 적 트로이의 목마라는 고대사의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세계의 패권을 노리는 그리스와 트로이의 전쟁에서 그리스가 난공불락의 요새인 트로이를 무력으로 점령할 수 없자 성문으로는 들어갈 수 없는 거대한 목마를 만들고 그 곳에 무장한 군사를 숨겨둔 채, 패한 것처럼 도망을 간다. 재앙을 두려워한 트로이 군사들이 트로이의 목마를 가져오기 위해 성문을 헐어 자기의 성안으로 들여오고 이것이 화근이 되어 오히려 패배한다는 내용이었다.
요즘 교회를 바라보며 개인적으로 우리 교회도 트로이 목마의 이야기와 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이 아닐까 걱정이 된다. 우리의 교회는 지금 새로운 문화들이 속속히 들어오고 있다. 단지 세상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교회도 거기에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는 논리를 가지고 말이다. 좋게 표현하면 눈높이를 맞추는 것이라고도 이야기한다. 그러나 새로운 문화를 들여올 때 우리는 반드시 거쳐야 할 작업이 있다. 그것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또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러한 문화에 대해 철저한 비판과 검토작업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는 그러한 작업이 거의 전무하다. 트로이의 목마도 만약 목마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경계하고 살펴보았더라면 아마 그런 실패는 경험하지 않았을 테지만, 그러한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한 나라의 패망으로 이어진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문화도 세상의 문화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역사 속의 이야기가 우리의 현실로 다가서게 될지 어떻게 알겠는가?
오스 기니스는 사탄의 교회전복전략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첫째 단계는 문화적 문맹 단계로 교회가 문화와 결합하도록 부추겨서 교회의 특성이 사라지고 문화만 남는다.
둘째 단계는 문화적 예속 단계로 교회와 문화의 결합이 심해져 교회가 문화의 도움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간다.
셋째 단계는 문화적 소멸 단계로 교회가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결합하여 교회의 모습이 점차 사라지는 것이다.
지금 현재 우리의 모습은 어디에 와 있는가? 정말 우리가 세상의 문화를 교회로 잘 못 들여오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럼 세상의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어떤 결과가 있을까? 여기에 대해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기업 두 곳이 있다.
얼마 전 박진영의 비윤리적인 노래 때문에 언론사에 가서 기독교사의 이름으로 한참 싸우고 왔다. 그리고 나서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으로 돌아와 기독교 방송을 켰는데 박진영의 그 노래가 나오지 않는가? 정말 허탈했다. 내가 가장 우군으로 생각했던 이들에게 뒤통수를 얻어맞는 기분이었다. 또 얼마 전에는 방송에서 나오는 노래 가사에 술을 마시자는 이야기가 버젓이 우리 크리스찬을 향하여 외치고 있었다. 요즘 우리 기독교 방송을 듣다 보면 정말 기독교인들이 만드는 방송인지 의문이 들 때가 빈번하다. 처음에 기독교 방송은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스포츠 투데이는 어떠한가? 순복음 교회 교인들의 정성이 담긴 헌금으로 만들어진(간접적이지만) 신문의 모습을 보면 정말 안타까움이 절정을 이룬다. 얼마 전 기윤실에서 스포츠신문 모니터링을 한 결과에 의하면 4개의 스포츠 신문 중에서 가장 선정적인 내용이 많은 신문 1위로 뽑혔다.
나는 이들이 초창기부터 이런 목적으로 방송이나 신문을 시작하였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처음에는 무언가 긍정적이고 좋은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좋은 계획을 가지고 출발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시청률과 구독률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의 눈높이를 맞추고 세상의 정서를 맞추어주다 보니 지금의 현실이 도래하였다고 생각한다. 난 이들을 보면서 참 가슴이 아프다. 그러나 우리 교회도 이런 모습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아니 똑같은 모습이 아니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나는 이런 대답에도 회의적이다. 우리도 지금의 상황에서는 모두가 면역이 되어버린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 교회에서도 언젠가부터 결혼 전 성관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고, 우리의 찬양 속에서도 세상의 문화에 젖어 든 패배감을 많이 느낀다. 주일 찬양 시간, 엄청난 사운드 속에서 드럼과 함께 부르는 신나는 찬양의 가사 내용은 예수님께서 우리 죄를 위해 고통받는 노래이다. 이런 찬양을 들으면 마치 사탄이 예수님의 고통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하다. '구원받았네', '씻어 주셨네'라는 노래를 부르고 다음 노래는 '날 구원해 주소서'라고 찬양한다. 그럼 아까 구원 받았다는 이야기는 왜 했는지.....
대중가요에 심취한 우리 아이들이 '가사 안들어요. 노래가 좋으면 됐죠.' 라고 말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설교말씀 전 차분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할 때 엄청난 사운드와 빠른 템포의 ccm 으로 모두가 흥분해 있다. 과학적으로도 사운드가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른 템포의 곡은 사람이 흥분하기가 쉽고 사람이 이성적으로 좋다 나쁘다를 판단할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이비 종교(사탄)나 헤비메탈에서 쓰는 방법들이 큰 사운드나 빠른 템포의 음악을 즐겨 쓴다. 언젠가부터 우리 교회에서도 이런 것들이 보편적인 문화가 되지는 않았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것에는 관심이 없다. 그러면서 모두가 이런 문화 속에서 알게 모르게 적응하며 자신도 빠져들어 가게 된다. 자신은 모른다. 그리고 자기의 가치관들도 조금씩 바뀌어간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사 그것을 다스리며 지키게 하시고"(창세기 2 : 15)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면서 에덴 동산을 만들고 그 당시의 세상인 동산을 다스리며 지키라고 하셨다.
그러나 지금 현재의 상황을 보자. 우리 크리스찬들은 과연 세상의 문화를 다스리고 있는가? 오히려 세상의 문화에 의해서 우리가 다스려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 물음은 세상이 우리 교회의 문화를 따라가고 있는가? 아니면 우리 교회가 세상의 문화를 따라가고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간단하게 답이 나온다. 과연 우리 문화의 흐름은 어느 쪽을 따라가고 있는가?
창세기에 나오는 주님의 말씀은 우리가 하고 싶어서 하고, 안하고 싶어서 안하게 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책임이다. 우리가 우리의 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지금은 우리의 교회에서 또는 우리 삶의 현장에서 우리의 문화를 다시 한 번 심각하게 되돌아볼 때이다. 지금 우리 교회에서부터 문화와의 전쟁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면, 먼 훗날 우리의 교회는 하나님이 중심이 아니라 음악이 주인이 되고, 문화가 행사가 주인이 되며, 즐기기 위한 장소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하겠는가? 세상의 문화를 들여오면서 철저한 비판과 검토 없이 들여올 때 역사 속의 트로이처럼 우리의 교회가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의 문화가 세상의 문화를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문화를 좇아 갈 때 우리 후배 크리스찬들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는 것은 아닌지 심히 걱정이 된다
'예수님요? 역사적으로 훌륭한 위인 중 한 사람 아니겠어요?'
조회 수 :
2503
추천 수 :
2 / 0
등록일 :
2001.10.10
09:52:20 (*.178.85.124)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99865/159/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998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sort 비추천 수 날짜
3038 준비팀의 수련회, 아직 상황 중! 377     2001-12-31
수련회 끝나는 날 아침의 서설은 걱정거리보다 또 다른 축복이었습니다. 끝까지 기도하라는 주의 음성이었으니 말입니다. 수련회 기간동안 모두들 수고많으셨습니다. 무엇보다 기도로 함께 참여해 주시고 서로를 받아 주시고 기뻐해 주셨던 것 참 감사를 드립...  
3037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465     2002-01-01
수련회동안 받은 은혜 항상 기억하며 기도하고 다짐했던바를 실천으로 옮기는 우리가 되길 소망합니다... 우리 모두가 새해에는 좀더 든든히 서가는 기독교사들이 되리라 주안에서 확신하며 샘들을 통해 이루실 하나님의 놀라운 일들을 기대해봅니다 새해에 ...  
3036 사진으로 다시 보는 수련회 [2] 457     2002-01-01
이번 수련회 때 찍은 사진 중 몇장만 올려봅니다. 류주욱 선생님이 수련회 사진을 많이 찍으셨고, 한창 작업을 하고 계시니 곧 사진게시판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3035 기쁨이네 2002프로젝트... 424     2002-01-01
TCF지체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년동안 수련회를 함께 하지 못했었는데 임신 9개월째인 아내와 이번 수련회에 함께 했다는게 참으로 감사했었구요. 많은 은혜을 체험했습니다. 어제 아내-양지안-와 함께 새해를 설계해 봤어요. 여러분들께 나누고 기도를 ...  
3034 지역대표자님들께 367     2002-01-02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수련회에 말씀 드린 지역역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겠습니다. 지역 역사의 내용은 옛날, 오늘,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 쓰시면 됩니다. 옛날: 만들어지게 된 계기, 비전, 그리고 초기 멤버들과 헤프닝들... 각종 행사들, 오늘: 요...  
3033 기독교사의 성품 451     2002-01-02
두번째 강해설교 기독교사의 성품(눅22:24-34,54-62) 성령은 어색함을 통해 역사한다. 가르쳐지는 것은 교과의 내용과 우리의 인격이다.삶과 앎은 분리되지 않고 교사의 삶과 교과는 분리되지 않는다. 존재론과 인식론,교수론은 구별되지 않는다. 내게 배우라...  
3032 기독교사의 헌신(12.28) 448     2002-01-02
네번째 강해 설교 기독교사의 헌신(요21:18-23) 삶이 변형되는 순간. 활주로를 달리다가 비상하는 순간. 독수리 같은 존재인데 병아리처럼 살고 있지는 않은가? 행9:1-9 1절에서 여전히, 3절에서 홀연히 여전한 삶에서 홀연한 변화, 여전한 삶에서 홀연한 변화...  
3031 임산부 수련회가다 [2] 594     2002-01-02
1. 수련회 참석을 결심하기까지 겨울수련회 참석을 결정하기까지 참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미리 결정하고 실행했더라면 돈 10,000원 아꼈을 텐데... T_T 등록을 해 놓고서도 망설여지더군요... 정말 갈 수 있을지... 그러나 힘도 들었지만, 그만큼 많은 것을...  
3030 Re..처음 참석한 수련회 393     2002-01-04
와우!! 유리선생님의 이름을 본 순간 가슴벅참을 느끼며 잔잔한 글을 읽고 있자니 저의 마음까지도 잔잔해 지는 군요. 선생님의 예쁜 마음을 읽고 있으니 저까지도 예뻐지는 것 같아요. 더예뻐지면 안되는데 ㅋㅋㅋㅋ 하나님안에서 서로의 마음을 나누는 기쁨...  
3029 Re..눈에 선합니다. 380     2002-01-04
이유리 선생님이 눈에 선합니다 좋은 만남이었습니다. 말씀으로 사시는 선생님이 되시기를 바라며 다음 수련회때도 꼭 뵐 수 있었으면 제겐 기쁨입니다.  
3028 처음 참석한 수련회 446     2002-01-02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중계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이유리입니다. TCF 정식 회원도 아닌 제가 이렇게 수련회에 처음으로 참석하게 되어 무척 기뻤습니다. 저는 올 2월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를 졸업할 예정입니다. 지난 해 논문 주제를...  
3027 Re..사진을 정리하며... 329     2002-01-04
사진과 리코더의 만남? 사진과 주~~욱 샘의 만남! 너무 잘 어울리는 것같아요. 수련회 때 마다 후배들과 함께 나타나시는 샘의 모습 ! 너무 아름다워요.  
3026 사진을 정리하며... [1] 355     2002-01-02
이번 수련회 사진을 갑짜기 맡게 되었고, 지난 여름 남부 수련회의 사진을 생각하면 아직도 등에서는 식은 땀이 느껴집니다. 대학교 시절부터 많은 사진을 찍었지만, 사진은 힘든 만큼 좋은 사진이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특히 인물사진은 더 어렵습니다. 교수...  
3025 다양한 수련회.. 다양한 은혜.. 360     2002-01-03
이번이 두번째시라고요 ? TCF수련회도 모시는 주강사에 따라 말씀의 뜨거움과 열정이 있는 경우와, 잔잔한 경우가 다양합니다. 그런데 잔잔한 경우만 두번 참석하셨군요! 다양한 수련회에 다양한 은혜가 넘치니 지속적으로 참여하시면 다양하면서도 지속적인 ...  
3024 Re..아 감독님! 359     2002-01-04
그립습니다. 모두... 짧은 시간에 애 많이 쓰셨어요. 기획력과 구성력이 돋보였습니다. 평범을 뛰어넘는 은사를 부여받으셨더군요... 춘천에서 뵙겠습니다. 고마웠습니다. ^_^  
3023 Re..안녕하십니까? 345     2002-01-04
집에 와서 선생님에 대해서 가만히 생각하며 아내와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주일학교를 위해 헌신하실 선생님의 모습이 상상이 됩니다. 좋은 선배를 알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의 그 굵은 목소리가 아직도 선합니다. 다음 수련회때도 또 뵙고 싶네요. 말...  
3022 Re..베드로입니다.. file 349     2002-01-15
 
3021 Re..베드로가 보고 싶군요 ^_^ 2조? 351     2002-01-04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갑자가 베드로(모두들...)가 더욱 그리워졌습니다. 잘들 계시겠지요? 저도 두 번 째 참가한 수련회인데 모두들 정이 많이 든 것 같습니다. 특히 우리 2조 선생님들 어떻게 지내시는지 궁금하네요. 늑대와 여우에 남겨두고 온 팥빙수 생각...  
3020 베드로야 일어나라! 440     2002-01-03
안녕하세요, 저는 부산 TCF 선은영이라고 합니다.^^* 많은 선생님께서 수련회에 대한 좋은 글들을 많이 올려놓으셨더군요. 은혜로운 글들에 도전이 되어, 용기를 내어 몇자 적고 가고자 합니다. 2년전 여수 TCF수련회 이후에 이번이 두번째 수련회였습니다.(작...  
3019 그대를 향한 나의 마음은... 976     2002-01-03
그대를 향한 나의 마음은... 내 소망의 근원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두려움과 죄책감, 부끄러운 마음의 근원이기도 했습니다. 어느덧 아렷한 저 편의 기억이 되버린 어린 시절... 힘들어하는 이들을 대하노라면, 울며 기도하는 이들을 보노라면 상처는 제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