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들은 잘 사랑스러운 아이들을 새롭게 알아가는 기쁨으로 잘 지내고 계시겠지요? 이제 본격적으로 아이들 삶 속으로 들어가야할 시간입니다. 드디어 "가정방문"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특히 묘한 것이 좋은교사운동이 말하는 가정방문의 시기(3.21-4.30)가 교육청에서 내려보낸 "학교 폭력 자진 신고 기간"이랑 거의 겹치더군요.
학교마다 교문에 붙어있는 "학교 폭력 자진 신고 기간" 프랭카드를 보며 오히려 가정방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됩니다.

가정방문을 이미 계획하시거나 시작하신 분들은 이 게시판에서 사례를 나눠주세요. 여러 사정으로 고민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에게 힘과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양한 방법과 사례의 나눔을 기대합니다. 이번 한주도 평안하시길..

아래에 좋은교사운동의 "가정방문 캠페인" 내용을 첨부합니다.



좋은교사운동은 5,000여 회원 교사들과 함께 ‘고통받는 아이들을 돕기 위해 가정방문 캠페인’을 3월 21일부터 전국 130개 지역에서 전개합니다.

언론을 통해서, 우리는 일진회 소속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상상을 넘는 수준의 성적(性的) 비행과 폭력 문화를 만들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슬픔을 느꼈습니다. 2002년 통계로 한해 4만 명의 고교생과 2만 명의 중학생들이 학교를 떠나는 문제에 더하여, 이 문제는 우리 교육의 부끄러운 실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폭력 관련 학생 신고제 등으로 문제가 풀려질 수는 없는 일입니다. 이 아이들의 문제는 해체된 가정과 가족관계에서 상실한 자존감에 그 뿌리가 있기 때문에, 사랑에 기초한 깊은 만남의 체험이 본질적인 처방일 것입니다. 문제는, 아이들의 내면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학생 기록철과 잠깐의 상담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가정방문 이상으로 아이들을 알아가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우리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가정방문은 교사와 학부모간 촌지 문제로 불신과 부작용이 생겨 이제는 거의 사라진 교육 전통이지만, 좋은교사운동이 2001년 3월 다시 부활시켰습니다. 아이들의 가정을 방문함으로, 우리는 서류를 통해서 알 수 없는 그들의 내면을 발견하고자 합니다. 아이의 부모와 대화함으로 부모의 마음을 얻고 아이를 지도할 바른 길을 찾고자 합니다. 그렇게 해서 발견된 아이들의 문제에 대해 급식지원과 장학금 수여, 상담과 학습 지원 등 다양한 후속 사업을 전개하거나 사회적으로 제안함으로, 왕따 및 부적응아 학생들의 문제가 학급의 담장을 넘어가지 않도록 예방하는 데 우리의 관심이 있습니다.

이 운동이 계기가 되어 교직사회에서 교육을 살리는 많은 창의적인 실천운동이 촉발되며 이로 인해 교직사회가 국민에게 사랑을 받는 일이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조회 수 :
390
추천 수 :
1 / 0
등록일 :
2005.03.14
17:12:52 (*.38.45.197)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4593/02f/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4593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