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tcf(한국기독교사회) 수련회, 2018.1.18. 둘째 날 저녁 말씀

 

모르드개의 저항

본문: 에스더 3:1-6, 설교: 김유복 목사(대구 기쁨의교회),

요약 및 은혜나눔: 서상복목사(해피가정사역연구소)

 

 

왕 아하수에로는 모든 것을 가지졌으나 여전히 결핍과 목마름으로 불안 가운데 산다. 왕비가 순종하지 않고 자기의 사람이 되지 않으며, 최 측근 내시 두 명이 반역으로 자신을 암살하려는 것을 모르드개가 에스더에게 알려 에스더로 하여금 왕에게 알리어 살아난다.

그래서, 왕 아하수에로는 하만을 대리 통치자로 세워 전권을 주며 계속적인 독재정치를 해 나간다. 하만 이후로는 대신들이 등장하지 않고 하만 에스더 등장 이후에나 대신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확실한 협의 없는 하만의 독재가 실시되었다.

 

1. 모르드개의 저항

 

1) 모르드개가 하만에게 무릎 꿇지도 절하지도 않았다.

하만이 모든 백성이 자신에게 절하라고 하는데 하만은 나는 유대인이다.”라고 하며 절하지 않았다. 이 말은 나는 우상숭배를 하지 않는다.”,“나는 오직 하나님만 경배한다.” 는 고백을 말한다.

 

물론 이 일로 모르드개는 물론 유다민족 전체가 말살 당할 위기에 처한다.

하만아말렉하각의 후예이다. 사울왕의 폐위의 원인인 아멜렉의 후손인 것이다.

아멜렉인 어떤 족속인가? 출애굽 때 이스라엘 백성의 후미를 쳤던 민족이다. 후미는 여성, 다친 자, 노약자가 있는 곳이다. 이 것은 전쟁을 이기려고 하는 싸움이기 보다는 노략질이며, 살육을 즐기며, 약탈을 하는 잔인함을 말한다. 그래서, 하나님은 가나안 전쟁으로 이방 족속과 전쟁할 때 아멜록 족속만은 전리품도 취하지 말고 한명도 남기지도 말고 진멸하라고 하셨다. 하나님의 심판을 대신 행하라는 것이다.

하만이 바로 이 아멜렉의 후손인 것이다. 따라서, 잔인하며 하나님을 대적하고 이스라엘 민족에게도 상당히 반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모르드개 뿐만 아니라 그 민족까지 말살하려고 한 것이다. 그냥도 아니고 11개월 후로 말살하여 죽일 것을 미리 예고하고 약탈을 하며 전멸시켜 더욱 자신의 잔인함과 살육의 즐거움을 누리겠다는 악한 정책을 쓴 것이다.

 

모르드개는 베냐민 지파이며, 사울왕의 후예이다. 그러니 하만이 더욱 싫어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중심부에 들어가 더욱 강하게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가려고 애쓴다. 이는 오늘 날 세상 속에 살면서 어떻게 처신하고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어야 하는지 전략을 보여 주는 것이다.

세상 속에서 친밀하게는 지내지만 한 통속은 되지 않으며 악의 수단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적절한 경계를 가지는 지혜를 말해 주고도 있다.

그러다가 절하라고 명령할 때, 하나님 나라에 대치 되는 이런 우상숭배 부분은 확실하게 저항하는 삶을 모르드개가 산다. 하나님의 다스림은 받지만 세상은 다스림 받기 보다 잘 어울려만 있는 것이다. 절대로 세상에 이용 당하지는 않겠다는 건강한 거리, 경계가 영성인 것이다. 거룩인 것이다.

오늘 날 한국교회와 성도들이 가장 잘 되지 않는 부분이라 여겨진다.

지나치게 세상과 친밀하지 않는 것도 문제이고, 세상의 가치에 지배 당하고 하나님 통치를 받지 않는 세상도구가 되는 것도 문제인 것이다.

 

하나님 나라에 위배 되는 것에는 교회가 저항을 해야 한다. 성도가 저항을 해야 한다. 그 것이 출애굽이며 구원이다.

탐욕과 자기만 잘 사면 그만이며 부흥만 되며 모든 것을 용서하는 방식은 부패함이며 세상의 가치이다. 생명을 사랑하고 사람을 섬기며, 하나님의 거룩을 온전히 드러내는 방식으로만 살아야 한다.

 

모르드개는 수산성이라고 해서 유다인들만 따로 모여 사는 곳에 살지 않고 수산성을 떠나 바벨론의 권력을 얻으려고 한다. 민족을 보호하고 하나님 나라를 이루려는 지혜이며, 세상에 속하지만 연합하지는 않는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모르드개라는 이름이 이방신 이름과 비슷하게 지어진 이름이다.

대궐문에 앉아 있었다. 이는 왕을 접견하는 자리이며, 국사를 논의하는 자리이다. 결국 오늘 날의 국회의원 정도의 위치를 유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 특히 내시들과 친하게 지냄을 알 수 있다. 이 내시 중 두명이 왕을 암살하려는 것을 알아낼 만큼 긴밀하게 교제도 했음을 볼 수 있다.

 

2) 아브라함도 저항하였다.

바벨론 신화에서 탈출하여 유목민으로 살면서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쪽으로 살았던 것이다. 호세아와 아가서에 나오는거친들의 언약을 지킨 것이다.

개신교(改新敎)'프로테스탄트'(Protestant)라고 하는 것도 하나님 나라를 위해 이 땅의 부패와 타락에저항하는 뜻을 이름이 가지고 있다. 로마 가톨릭에서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분리되어 나온 교파들을 일컫는다. 마르틴 루터, 츠빙글리, 칼뱅 등은 부패한 가톨릭에 대항하여 종교개혁을 일으켰다. '프로테스탄트'라는 단어는 1529년 독일 스파이어 회의의 판결에서 마르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세력에 저항(Protestatio)한 데서 생겨났다.

이제 다시 하나님의 뜻에 맞는지 맞지 않는지 교회와 신앙과 개인의 모든 삶을 점검해서 개혁을 하고 저항을 하여야 한다.

 

3)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도 저항하였다.

이스라엘 백성은 바로와 애굽에도 하나님 나라에 대치 될 때는 저항하였다. 그 약산 모든 산모들이 산파들이 생명을 걸고 바로왕이 사내 아기를 죽이라고 해도 죽이지 않고 모두 살리었다.

 

4) 다니엘과 세 친구들도 저항하였다.

이들은 생명을 걸고 하나님 나라에 대치 되는 것에는 저항을 하였다.

 

2. 금송아지와 하나님의 차이

금송아지는 자기 원하는 데로 자기 하고 싶은 데로 하는 것이다. 거기에는 사명이 없다. 언약이 없다. 여러 사람을 유익하게 하거나 하나님을 높임이 없다. 오직 자기가 즐겁고 자기가 행복하면 된다.

하지만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방식대로 해야 한다. 언약이 있다. 그리고 사명이 있다. 나만 잘 사는 것이 아니라 나로 인하여 여러 사람을 살리고 세우고 돕는 사명이 있다. 그 것도 하나님 나라의 풍성함을 흘러 보내야 한다. 하나님 경배는 반드시 공의와 정의를 이 땅에 실현해야 한다.

 

3. 새 사람을 입으라.

 

1) 새 사람을 입는 다는 것은 서로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3:18) 능히 모든 성도와 함께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3;19)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신 것으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 나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충만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결국 하나님 나라의 정의와 공의는 이 뜨겁게 피차 사랑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이다. 이 것으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되는 것이다.

 

2)‘산상수훈도 세상의 가치와 질서에 새로운 질서를 드러내는 저항이다.

예수님은옛 말에, 옛 사람이 이렇게 말했으나 나는 이렇게 말한다.”라는 식으로 말하며 산상수훈을 가르치셨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을 말할 때나 하나님의 권위로 말할 때 하는 용법인 것이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법은 고대법보다도 진보된 법이다. , ‘자신 중요하면 다른 사람도 중요하다.’, ‘너도 아프면 다른 사람도 아프다.’는 사랑의 정신이 들어있다.

겉옷까지 주라고 하는 것은 고리대금업자가 가져가는 것인데 너희들은 나를 비인간적으로 대우 할 수 없다.’는 뜻이다.

‘5리를 가자고 하면 10리를 가 주라.’는 것은 식민지의 노예의 법인데 5리를 가자하면 5리를 가주라고 하던 식인데 이제 10리를 가 줌으로 노예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 10리를 가 주겠다.’,‘이젠 나는 노예가 아니다.’라는 뜻이다.

폭력적 세상, 자본주의 세상, 힘의 논리의 세상, 탐욕의 세상에서 대인으로 하나님 나라로 사는 참 안식의 법이다. 참 자유요 참 저항의 말씀이다.

 

결국 산상수훈은 에스더의 주제처럼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백성이 되는 것이다. 한 인간을 하나님처럼 대하는 것이다. 한 인간의 존엄성을 하나님의 나라 가치로 대하여 사랑하는 것이다.

 

3) 공의와 정의는 사랑으로 완성된다.

 

(요일 3:14) 우리는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옮겨 생명으로 들어간 줄을 알거니와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머물러 있느니라.

(요일 3:18) 자녀들아 우리가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고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자.

 

우리의 소망이 죽어 천국 가는 것만 되어서는 안 된다. 이 땅에도 하나님 나라가 실현 되어야 한다. 그 방법이 말과 혀로만 하지 않고 물질로 섬김으로 봉사로 실질적인 사랑을 할 때 하나님 나라가 실현된다. 이 땅이 하나님의 다스림이 이루어져 공의와 정의가 실현되는 것이다.

 

맺으면서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이 전에 나를 돌봐주고 도와 주었는데 같이 지내자.”라는 말에 나는 너를 사랑함으로 내 삶이 구원을 얻었다.”라고 했다

.

그렇다. 천국은 하나님의 뜻대로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서로 사랑함으로 구원이 됨이다.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의 사랑을 이 땅에서도 우리의 보이지 않는 영성을 소자와 어린 이에게 도움이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 물질과 행동으로 보일 때 승리인 것이다.

세상에 저항하는 참 안식인 것이다.

 

백성이 모두 죽게 된 때 기꺼이 상복을 입고 죽으면 죽으리라 결심하고 백성을 구하고 살리려고 사랑하여 생명을 거는 모르드개의 저항이 다시 회복되어야 한다.

탐욕에 물들고 자기만 잘 되면 그 뿐인, 말과 혀로만 사랑하는 그 자리에서 상복을 입고 대문에 서야 한다.

 

내가 사랑하는 그 사랑으로 도리어 내가 하나님 나라로 사는 구원을 얻었다.”

 

나를 사랑하셔서 하늘 버리시고 십자가 위를 선택하신 예수님의 사랑이 오늘 나의 탐욕을 버리고 이웃의 눈물과 아픔을 말과 혀만이 아닌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자.

그래서, 하나님 나라 가치로 살아내어 세상의 탐욕에 저항하자.

 

조회 수 :
273
등록일 :
2018.01.19
10:37:49 (*.39.141.39)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247861/4e6/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24786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sort 날짜
3218 사진 전시회를 열며... 1068     2001-10-19
사진 전시회를 열며... 저는 우리 학교의 사진반을 맡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사진반원은 모두 20명입니다. 그러나 대개가 3학년 학생들이므로 실제 활동 인원은 1학년 뿐으로 불과 4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2학년은 한 명도 없습니다. 제가 새학기에 들어...  
3217 가을 지리산 등산기 1010     2001-10-19
2001년 가을 지리산 등산기 2001년 10월 13일 22:50서울역 출발하다. 23:00영등포역에서 일행 8명이 승차하다. 2001년 10월 14일 03:47곡성에 닿다. 04:05구례구역에 도착하다. 졸린 눈을 비비며 승강장에 내려선다. 서늘한 새벽 공기가 뺨을 스쳐간다. 아직 ...  
3216 가을 등산 1541     2001-10-22
매일 밤에만 올라가던 뒷산을 어제는 낮에 등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와 친한 우리 학교의 ㅇㅇ선생님께서 우리 동네의 국립 공원 안에 있는 500여 미터 높이의 유명한 산, 사패산(賜牌山)으로 학생들과 함께 등산하러 오겠다고 하셔서 약속 시각인 정오에 ...  
3215 Re..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904     2001-10-23
김규탁선생님 대단하십니다. 언어도 다르고 모든 것이 다른 일본에 가서 공부하고 있다니...생각만 해도 긴장의 연속에다가 정신이 없을 것 같습니다...외국인이 그 정도도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무슨 재미입니까? ... 잘하고 계신 겁니다. 소식 진정 반갑습니...  
3214 착각증,전달불능과 착각증 1073     2001-10-23
안녕하세요. 모두들 주안에서 평안하시지요? 저는 요사이 하루에 몇번씩 시계를 본다든지, 수첩을 본다든지, 오늘 할일을 몇번씩 생각을 하고 또 한다든지, 오늘 할 말에 대해 반복해서 연습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일어난 몇가지 사건이 있었기 때문...  
3213 Re..가을을 선물합니다 876     2001-10-24
홍주영선생님, 정말 아름다운 영상입니다. 가을 정취가 흠뻑배어 있었습니다. 음악과 너무나도 잘 어울려서 정말 훌륭한 가을 선물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대영  
3212 가을을 선물합니다 [1] 1167     2001-10-23
 
3211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10     2001-10-24
선생님, 그 곳을 떠나려는 선생님의 의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만의 하나 현실 도피의 성격이라면 어디가도 그 상황은 선생님을 줄기차게 따라다닐 것입니다. 개도 정면도전하는 사람은 피해가지만 그러지 않고 자기를 피해가려는 사람에게는 귀신 같이 이를 알...  
3210 사랑하는 지체에게 829     2001-10-24
연숙아.. 오랫만이다. 대학 4년을 같이 보내고 같이 훈련 받으면서 참 가까이 있었던 우리였는데 다른 지역으로 발령을 받고.. 또 경산 TCF가 독립을 하면서 참 ,, 얼굴 보는 것이 참 힘들구나 그래도 수련회때마다 1년에 2번 이상은 꼭 봤었는데 이번에는 연...  
3209 Re..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893     2001-10-24
음~~~ 연숙이에게 아주 심각한 문제인 것 같구나.... 이 언니가 뭐라고 이야기 해야좋을지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원론적이고 지극히 진부한 이야기만 하자면... 사표를 내고 안내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연숙이가 어떠한 동기로 행동하느냐가 더 중요...  
3208 마음이 답답합니다. 해결해 주세요 914     2001-10-23
안녕하세요? 저는 경산TCF 김연숙입니다. 모두들 잘 지내시죠? 요즘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내년에 대구에 임용고시를 치를지 말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임용고시를 치를려면 지금 10월 말까지 사표를 내야 됩니다. 그렇지...  
3207 29회 수련회 사진값이... 878     2001-10-24
29회 수련회 사진을 발송한 지 오늘로 20일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제가 83분에게 우송을 했으나 입금해주신 분은 어제로 29분입니다. 은행에 가시기가 어려우실 줄은 아오나 그래도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금주 내로 입금을 부탁드립니다. 혹시 사진값이 얼마...  
3206 가장 중요한 것 [2] 1250     2001-10-24
♠♠ 가장 중요한 것 ♠♠ 하반신 마비가 되기 전에 내가 할 수 있었던 일은 1만 가지였다. 그러나.. 이제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9천 가지가 있다. 나는 내가 잃어버린 1천 가지를 후회하며 살 수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내게 가능한 9천 가지를 하면서 살 수도...  
3205 Re..동의 합니다. 928     2001-10-26
저도 선생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사람 사이에 일정한 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른 호칭의 사용도 꼭 필요한 일이고요. 요즘 가을 산이 참 멋있죠?  
3204 애인을 왜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가? 1000     2001-10-25
요즘은 여자가 남자 애인을 오빠라는 말로 부르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상당히 멋적은 말, 거북한 말입니다. 그래도 혼인 전까지는 그런대로 봐줄 수 있지만...혼인하고 나서까지 오빠라고 부르는데는 .... 제 조카 중에 그런 애가 있습니다. 혼인 전에도...  
3203 Re..김대영선생님! [1] 1165     2001-10-29
연가투쟁하시느라 힘드셨지요? 저는 여러가지 생각이 많았는데 결국 선약이 되어 있던 수학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함께 연대의대에서 열린 기독 학문학회에 참여했습니다. 동일한 시간에 수고하고 계시는 전교조선생님들 생각하며 "교육,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  
3202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30     2001-10-28
원문을 다 읽어보지 못했지만 인용하신 부분의 글이라든가 평소 선생님을 잘 알고 있기에 저도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김대영  
3201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9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00 Re..저도 충격 889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199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13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