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3가지 큰문제는 사교육, 아파트  등 주거비, 룸싸롱비용 이라고 합니다.

초등학생들이 유학을 가는 것은 큰 문제입니다.

사교육을 시키는 이유는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사교육을 시키는 것 같습니다. 

옆집이 사교육을 시킨다고 시키는 것은 무책임한 것입니다. 

80년 대는 과외가 없었습니다.

한국의 중산층이 처음 등장한 것은 83년 경입니다.

사람들이 돈이 생기면서 사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소비가 한번 늘면 줄기가 어렵습니다. 사교육 시장 역시 그렇다고 봅니다.

사교육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적으로 봤을 때..

학원을 다니면서 공부를 하면 대학교 2학년까지는 잘합니다.

대학원생이 되면, 학원에서 공부했던 아이들은 떨어져 나갑니다.

학원을 안다녔던 지방 학생들이 오히려 논문을 잘 씁니다.

사실상, 학원을 다녔던 아이들은 꿈이 학문인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포디즘.. 1945년 이후, 전세계에.. 대량생산, 대량 소비 개념은 우리나라에도 잘 들어 맞았습니다.

포디즘이 잘 돌아가려면 교육이 잘 되어야 했습니다. IMF 경제 위기 전까지는 우리나라 체제에 잘 들어 맞았습니다.

컨베이어 벨트..

1990년대 초반.. 탈포디즘이 시작되었습니다.

소품종 다량 생산 =>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었습니다. 창의성이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context(맥락).. 텍스트(교과서)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사교육은 탈맥락을 시킵니다. => code 암기

탈맥락 교육을 오래 받다보면, 로보트처럼 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사교육 시스템이 포디즘 시기 일때는 맞았습니다. 현 시대에는 탈맥락하면 오히려 먹고 살기 힘든데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능(수학능력).. 적절한 독서와 경험이 주안점입니다.

IQ 는 그 사람의 능력을 보는 것입니다. 미리 공부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IQ를 준비해서 보지는 않습니다. 수능의 취지는 준비하고 테스트를 보라고 시작된게 아닙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사람들은 머리가 좋아서 수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수능은 원래 어느 정도 지적 능력이 있으면 풀수 있는 것입니다.

논술..책 많이 보고 경험을 많이 한 학생이 잘 볼 수 있도록 준비된 시험입니다.

"입학사정관제".. 답변의 패턴화입니다.

대학수업은 요점, 정리를 해 주지 않습니다. 대학 수업에는 답이 없습니다.

학원을 많이 다녔던 아이들의 표정은 대학 강의 시간에 몽롱합니다. 답이 없음을 답답해 하는 것 같습니다.

3년 전 쯤에, 사법고시 사교육이 처음 등장했습니다.

삼성 등 대기업 승진 시험 사교육이 아직은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국민 경제 틀로 보면,

우리가 먹고 사는데 "창의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국민경제 1인당 GDP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스웨덴 < 스위스< 노르웨이

창의성이 문제입니다.

동구권 국가가 한국보다 1인당 GDP가 높습니다. 우리는 사교육, 아파트 주거, 축구.. 등을 열심히 하는동안, 동구권 국가의 경제가 한국을 앞서기 시작했습니다.

체코가 우리나라보다 잘 살고 있습니다.

프랑스 유학시절, 파리 대학원 1년 등록금이 6만원이었습니다.

졸업할 무렵 (박사 논문 심사비 포함해서) 1996년 대학원 1년 등록금이 10만원이었습니다.

(작년) 나라별 등록금을 살펴보면, 프랑스-30만원, 스위스-50만원, 독일-80만원 (연간등록금)

점심 식사..원가의 40~45%를 대학생들이 지불합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등록금도 비싸고 점심식사 원가에 대한 지원금도 전혀 없습니다.

보통 6개월쯤 놀고 자면, 무엇인가 하고 싶어집니다.

그 때하고 싶은게 진짜 하고 싶은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을 쉬고 놀게 하는 것이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중증 장애 학생들은 호주나 스위스에서 교육을 받으면 좋은 것 같습니다. 교사 1인당 학생수가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입니다.

아이들에게 10만원정도 책을 사주고, 10만원은 연극, 영화비로 주고, 나머지 돈은 대학 등록금 등으로 쓰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대기업 과장급 여성들을 중심으로 조사해 보면,

남편과의 관계도 어렵고, 아이들은 돈을 들인만큼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마음이 간다고 합니다.

30~40대 여성들이 마음을 둘 때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연극을 보는 사람들.. 대부분이 40대 여성이라고 합니다.

40대 여성들이 영화를 많이 보려 가면, 영화 상영기간을 1주일 연장한다고 합니다.

40대 여성들이 마음을 둘 곳이 없어서 자식에게 마음을 두다 보니까, 사교육에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40대 여성을 위한 문화 공간을 마련하지 못하면, 사교육에 계속적으로 집중하게 될 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워질 예정이어서, 학원을 보낼 사람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내년에는 학원비를 지출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방과후 학교 말고, 시민단체가 문화관련 일들을 맡아서 추진했으면 하는데, 시민단체는 돈이 없습니다.

기업 등에서 후원을 받았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배워야 하는 것은 영어, 수학이 아니라.. 글쓰기, 그림 그리기, 춤 등입니다.

국, 영, 수로 우리나라가 동구권 국가의 경제력을 따라잡기가 힘들것입니다.

우리나라 세금을 보면.. 부가가치세 중에서 직접세의 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내년에는 포괄적인 중산층이 학생이 학원을 가는 대신 밥을 먹는 것을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그만큼 경제가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50% 가정 자체에서 생존의 문제인 시기가 올 것입니다.(내년)

내년부터 2~3년까지 경제가 힘들어질 예정입니다.

EBS 관련 사교육을 제외하고는 파산할 위기가 될 것입니다.

상위 2~3%는 그래도 학원을 다닐 것입니다.

내년에는 보편적인 사교육이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길게 보면, 사교육을 받는 것보다 학생들을 놀게 하는 게 낫습니다. 국가 경제를 위해서도..

.....

 

우석훈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마음이 시원해 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학원교육.. 사교육의 문제점은 아이들의 학습을 패턴화, 기계화, 로봇화 시키는 데 있다는 것..

현재, 미래.. 한 아이를 살리는데, 나라 경제를 살리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창의성인데..

사교육은 이 창의성과 정반대의 관점으로 흘려가게 만든다는 점이 많이 와닿았습니다.

무리하게 패턴화된 교육을 받는 것보다 차라리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쉴 수 있도록 여유를 두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에 동감합니다.

고등학교 시절에 무조건 공부를 하는 것보다, 조금 쉬면서 공부를 할 때가 오히려 성적이 오르고 삶의 방향, 진로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동구권 나라들 대학 등록금이 우리나라 등록금의 절반도 돼지 않는 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등록금과 생활비를 버느라 학과 공부를 하는데도 버겨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라에서 등록금과 급식비의 일부를 지원해 준다면, 취업 준비로 몸살 앓고 있는 대학생들의 짐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조회 수 :
1165
등록일 :
2010.11.17
00:52:25 (*.224.16.29)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56745/d90/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567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sort
438 기독동아리 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778     2010-11-16
샬롬~ 제천에 최재연입니다. ^^ 기독동아리 활동에 관해 법을 찾아보려다가 여러 선배님들께 직접 여쭤봅니다.. 지난주 회식때 교장선생님께 기독교 동아리 모임을 좀 자제해달라고 하는 말씀과 동료교사(불교에 심취해 있는)에게는 학교 축제때 기독교 계발활...  
437 등대지기 학교 소감문(2강)..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204     2010-11-16
기대 이상으로 내용이 너무 좋아서 소감문을 올립니다..^^ ... 오래전부터 "등대지기 학교" 강의를 듣고 싶었는데, 이번에 드디어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1강 강의를 들을 때는 친한 교회 언니(화가 & 작은미술학원을 운영하심)와 함께 들었는데, 내용이 ...  
436 등대지기 학교 소감문(3강)..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229     2010-11-16
조기 영어교육.. 언어교육의 결정적 시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적 시기는 하나의 가설이며 정반대의 연구결과들이 있다. 한국인들이 다른나라 언어인 영어를 배우는 것처럼, 스페인어를 배우는 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는데.. ...  
435 등대지기 학교 소감문(4강)..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184     2010-11-16
*우리나라 아이들의 상황은.. (한국 학생들의 삶의 위기) 공부하는 시간 통계를 확인해 보면.. -> OECD 선진국 공부시간은 평균 34.5시간, 대부분 선진국은..30~35시간, 우리나라는 50시간 우리나라는 정규 공부시간만 해도 35시간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관...  
» 등대지기 학교 소감문(5강)..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오승연 1165     2010-11-17
우리나라의 3가지 큰문제는 사교육, 아파트 등 주거비, 룸싸롱비용 이라고 합니다. 초등학생들이 유학을 가는 것은 큰 문제입니다. 사교육을 시키는 이유는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사교육을 시키는 것 같습니다. 옆집이 사교육을 시킨다고 시키는 것은 무책...  
433 등대지기 학교 소감문(6강)..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 1185     2010-11-17
이수광 선생님은 대안학교 이우학교의 교감선생님이십니다. 학교를 위해 고민하는 사람 정도로 생각해 주기 바란다고 하십니다. 1) 학교는 무엇인가? 2) 좋은 학교를 꿈꾸다 3) 미래형 학교를 꿈꾸다. 교육이란 복잡합니다. 교육생태계 변화.. 과거는 마침표로...  
432 회개하고 기도할때입니다!!! [5] 1650     2010-11-24
http://www.youtube.com/watch?v=sE7jsWqaJ4A http://www.youtube.com/watch?v=rMQzNZpApL4&feature=related 연평도를 보며 맘이 너무 아픕니다. 유튜브동영상 한편, 보세요... 어느 목사님이 우리나라에 전쟁이 있을것이라고 예언했답니다. 아이티지진과 ...  
431 [좋은교사] 고려대학교 동문을 찾습니다 [1] 1349     2010-11-25
기 선생님, 언론을 통해서 보셨겠지만, 고려대학교가 이번 수시모집 가운데 ‘세계선도전형’을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한다고 해놓고, 실제로는 입학사정관제가 금지하고 있는 토플, 텝스, 토익 등 외국어 스펙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430 누구와 함께하는가? [1] 1297     2010-11-26
누구와 함께하는가? 여행을 다녀온 이야기를 나누거나 다른 사람의 경험을 듣다 보면 한 가지 정리되는 생각이 있다. 여행의 만족은 어디로 가느냐보다 누구와 함께 가느냐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어쩌면 여행의 진정한 가치는 ‘어떤 장소를 가는 것...  
429 글없는 책으로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기 4086     2010-11-29
"아무도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한다. 한 쪽을 미워하고 다른 쪽을 사랑하거나 한 쪽을 중히 여기고 다른 쪽을 업신 여길 것이다. 너희는 하나님과 재물을 아울러 섬길 수 없다." (마태복음 6장 24절) 마태복음 6장 24절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어린이 전도에 대...  
428 등대지기학교 소감문(8강)..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197     2010-11-29
8강 송인수 선생님 강의..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은 꼭 옵니다." 이 운동은 전문가의 운동이 아니다. 소중한 부분이 재정으로 후원하는 것이다. 회원이 된다는 것은 잘 생각해 봐야 한다. 충분히 의심해 봐야 한다.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을 처음 시작하게 된 ...  
427 보이지 않는 사람들... [2] 1099     2010-11-30
어렸을 적부터 신앙생활을 하다 보니 '묵은 친구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일학교 시절의 친구들 중에는 한 때 보였다가 보이지 않는 친구들이 있었고, 그 친구들 중에는 다시 볼 수 있던 친구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저는 그래도 학...  
426 거룩 - 시대의 흐름에서 벗어나기 [1] 1194     2010-12-03
거룩 - 시대의 흐름에서 벗어나기 강물 속에 있는 건강한 물고기는 비록 물살이 셀지라도 때로는 흐름을 거스르며 자기가 가고자 하는 곳으로 헤엄쳐간다. 그러나 죽어가는 물고기는 물살을 거스를 힘이 없어 흐름에 휩싸여 떠내려가고 만다. 강물 위에 떠있는...  
425 2011년 1월 울산 협동학습 기본과정 '직무연수' 안내 [1] file 1984     2010-12-03
 
424 아이들 기도제목을 올리실때.. 1441     2010-12-04
아이들 기도제목을 게시판에 올리실때, 한글 첨부 파일로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가끔 아이들이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서 자기 이름을 검색하다가 TCF 홈페이지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아이들 기도제목을 올리실때.. 첨부파일로.. 부탁드립니다.^^  
423 성경사전... [6] file 2498     2010-12-05
 
422 포항지역방문 그리고 겨울수련회 [10] file 3530     2010-12-08
 
421 겨울수련회 등록이 시작되었습니다. [2] 2834     2010-12-10
겨울수련회등록이 시작되었습니다. 1. 선택식강좌 김태현쌤강좌는 정원 40명 고정입니다. 다른 강좌도 40명정도가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정원이 차면 해당강좌는 닫히게 되어 신청이 안됩니다.^^ 2. 입금계좌는 아래와 같습니다. 입금계좌 안내 농협 351-027...  
420 '뭐어 어린이캠프' 수련회홍보영상재미있네요 1812     2010-12-17
이영호쌤의 딸 이시은 학생의 연기력이 아주 출중한 것 같습니다^^ 정말 귀가 막히고 코가 막힐 정도로 훌륭하게 흉내낸 것 같아요. 그리고 장국한쌤의 뭐어 어린이 어린이캠프 하는 부분이 웃음을 자아내는데요. 처음에는 '소는 누가키우나'라는 멘트가 조금 ...  
419 기다리시는 하나님 2001     2010-12-19
기다리시는 하나님 혼자 기차나 버스를 타고 여행을 할 때면 차창 밖 풍경을 보며 여러 가지 생각을 정리하거나 감상에 젖곤 한다. 해질녘에 창밖을 바라보다보면 산기슭에 있는 외딴 집의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