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지역 통일 기행에 다녀와서2....



자유의 다리는 채 100미터도 되지 않는 짧은 다리입니다. 이 다리를 통해 휴전 직후에 한국군 포로 1만 3천명이 귀환했다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살아돌아와 식구들의 품에 안기는 감격을 안으며 희망 속에 돌아온 용사들을 이어준 이 다리는 옛날의 원형을 거의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 다리를 통해 천천히 귀환하고 있는 그 옛날의 국군 장병들을 회상하면서 저도 천천히 그 다리 위를 걸어보았습니다. 오른 쪽 옆으로 새로이 건설한 경의선 철교가 보이고 그 오른 편으로는 전쟁 때 폭격당해 부서진 교각이 드문드문 보입니다.

이윽고 80여미터의 걸음을 걷자 철조망이 통일을 염원하는 글귀와 함께 저를 막아섰습니다. 그래서 제 발걸음도 그만 거기서 멈춰지고 말았습니다.

이 다리는 자유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그 동안 민간에게 접근이 금지돼 오다가 21세기가 열리던 2000년 1월 1일부터 이처럼 개방하고 있다고 합니다. 80여미터의 다리를 가는데 우리는 무려 50여년이라는 긴긴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니 지금 북측과 개성까지의 경의선 철도와 도로 개설을 협의 중이니 다시 이 다리를 넘어 북으로 북으로 이 도로가 이어지기까지는 얼마나 더 긴 세월을 필요로 할른지 아무도 알 수가 없습니다.

다리 왼 편 아래로는 한반도 형상의 연못에서 물결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저 쪽 입구에 가면 연꽃을 파는데 그 것을 사서 여기에 띄우면 북쪽으로 흘러가도록 돼 있다고 합니다. 이제는 통일을 주제로 한 관광 상품도 상당히 많이 개발하고 있다는 것을 이렇게 다니면서 손쉽게 보고 알 수 있습니다. 과거의 냉전식 살벌한 구호 대신에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보여주면서 자본주의가 그 틈을 파고 들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는 뭐든 돈이 될 수 있다면 이를 상품화할 수 있는 재주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강 이편이나 강 저편에 보면 철조망이 튼튼하게 쳐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저 것은 민간인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지 남북의 비무장 지대를 알리는 철책선의 아닙니다. 강 건너도 분명히 우리 측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강을 건너서도 7-8km를 더 가야 북측 경계선이 된다고 합니다.

그 쪽에는 통일촌이 있고 대성동도 있습니다. 대성동은 유엔사 관할로서 성분을 인정할 수 있는 사람들과 전출 하사관을 차출하여 농사짓게하면서 형성한 마을입니다. 이 곳 일대는 그리 높은 산이 별로 없는 벌판입니다. 땅도 비옥해보입니다. 농사 소출도 상당히 많을 듯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제 쌀이 남아돌아서 걱정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중국마저도 이제는 wto체제에 막 들어와 있는 지금이 아닙니까? 중국 만주 지방에서 생산하고 있는 쌀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딱들어 맞는 쌀인데 이 쌀이 우리나라 생산비의 오분의 일 가격으로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니 앞으로 우리나라 농민들은 정말 큰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동안 우리나라 농사는 양을 강조해왔는데 이제는 질적인 면으로 눈길을 돌려야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전제적으로 모든 면이 이제까지와는 다른 체제를 강요당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우리 현실이라고 할 때에 교육 문제에 있어서도 과거의 틀을 바꾸는 안목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생각을 제시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늘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서 올려다 보니까 까맣게 철새들이 남쪽 같아 보이는데 날아가고 있습니다. V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철새들은 이 드넓은 곳 어디서도 구애 받음 없이 자유로이 날고 있는데 사람은 왜 내 나라 내 땅임에도 이렇게 바라보기만 할 뿐 가고 올 수가 없는 것입니까?...누구 탓입니까? 어떻게 해야 이를 허물 수 있는 겁니까?...한참 뒤에 보니까 뒤쳐진 새 한마리가 아까 새 떼가 무리지어 날아가던 방향으로 힘들게 날아가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뒤에 보이는 임진각 건물은 70년대초에 남북 대화하면서 지은 건물인데 남북 관계의 변화에 따라 이 건물의 분위기도 바뀌어 왔다고 합니다. 가장 초기에 지은 건물이기 때문에 이제는 가장 후진 건물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함인호선생님은 설명해주셨습니다.

임진각, 그리고 자유의 다리가 있는 곳을 떠난 것은 11:45분입니다. 버스가 지나가는 길 주변으로 서울역과 신촌역에서 이리로 오도록 신설한 경의선 열차역이 인적은 없으나 산뜻한 모습으로 눈에 들어오기도 했고 어디선가는 판문점 9.5km라는 이정표도 보였습니다. 인적이 없는 한적한 산기슭이나 제방 주변에는 하얀 억새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습니다. 제 기분 때문이었을까요? 그 억새가 우리를 향하여 손을 흔들어주는 것으로는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억새는 억새대로, 우리는 우리대로 제각기 따로 노는 것 같은 이질감이 느껴졌을 뿐입니다.

정오 무렵 통일 전망대에 닿았습니다. 임진강과 그 일대의 남북 초소 등이 한눈에 보이는 곳입니다. 전망대에 오르니 사병 한 명이 눈 앞에 펼쳐진 임진강 일대를 바라보며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멀리 판문점도 보였고 북측의 국기 게양대와 남측의 국기 게양대가 멀리서도 뚜렷이 보이리만큼 높이 세워져 있음을 알리고 있었습니다. 남북이 서로 질세라 국기 게양대 높이를 경쟁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우리야말로 정말 지기 싫어하는 민족이 아니겠습니까? 그런 사람들이 남북으로 대치하고 있으니 오죽하겠느냐는 생각을 했습니다.

통일 전망대에 30분 정도 머물렀다가 장단 콩 축제장으로 갔습니다. 이 곳은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혼잡했습니다. 헌병들의 호루라기 소리가 여기 저기서 울리고 들어오고 나가는 차량들을 안내하는 그들의 발걸음도 바빴습니다.

인솔 책임을 진 이장원선생님께서 주위의 몇몇 선생님들을 오라고 하시더니 막걸리잔을 돌렸습니다. 저는 한 사발도 채 들지 않았음에도 핑 도는 기분이어서 더 권하는 것을 사양해야 했습니다.

장단콩 축제는 매년 한 번씩 열리는데 오늘이 마지막 날이라고 합니다. 함선생님은 우리가 운이 좋아서 이 자리에 참석할 수 있는 행운을 누리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콩도 팔고 음식도 팔고 초등학생들의 태극권 시범 경기도 보여주고 있고 도리깨질도 관광객에게 시키고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가 물씬 묻어나고 있었습니다. 남북이 분단돼 있는 접경 지역에서 이와 같은 흥겨운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을 줄은 사전에 상상하지 못하던 일이었습니다.

우리가 앉아 있는 막걸리 집은 군내 초등학교의 이름이 박힌 차일을 쳐 놓고 있었습니다. 군내 초등학교에서 빌려준 것일까요?...

30분 후에 승차하고 이동하고 있는데 함선생님이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서양인들은 콩을 먹지 않다가 최근에 와서야 콩을 먹기 시작습니다. 세계에서 콩을 가공하여 먹는 민족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극동 아시아 지역에서 콩을 가공하여 먹는 민족은 고작 6-7민족 정도나 될까 생각합니다.

콩은 그냥 먹을 수 없고 발효시켜야 먹을 수 있습니다. 일본 된장 중 미소 된장이 우리 나라 청국장 비슷합니다. 즉 속성 발효시킨 것이지요.

콩의 발효는 일차 발효가 있고 이차 발효가 있습니다. 일차 발효시켜 먹는 민족은 세계에서 7-8개국이 있습니다. 그러나 2차 발효까지 해서 먹는 민족은 우리나라 민족 하나 뿐입니다.

콩 삶아서 메주 만들어 발효시키는데 항아리에 넣어 아침에 열고 저녁에 닫고 그 때 작용하는 균이 효모균입니다. 그런데 이 효모균은 공기가 오염된 곳에서는 잘 발효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것이 세계에서 가장 항암 작용이 큰 우리나라 된장입니다...'

(계속)




조회 수 :
954
등록일 :
2001.11.12
16:22:09 (*.248.247.253)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0028/eba/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00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sort
3158 수련회 셋째날 말씀 정리, 자신과 악으로부터 어떻게 지켜야 하나? [1] 1302     2015-01-31
제주에서 TCF 겨울수련회 말씀의 은혜를 정리(2015.1.21. 수, 설교 이시종 간사)   자신과 악으로부터 어떻게 지켜야 하나? 삼하 11장   삼하 11:1 그 해가 돌아와 왕들이 출전할 때가 되매 다윗이 요압과 그에게 있는 그의 부하들과 온 이스라엘 군대를 보내...  
3157 수련회 둘째 날 말씀, 우리 시대의 핵심 과제풀기 [1] 1230     2015-01-31
제주에서 TCF 겨울수련회 말씀의 은혜를 정리(2015.1.20. 화, 설교 이시종 간사)   우리 시대의 핵심 과제풀기 삼하 6장   시작하면서   사무엘서 전체에서도 다윗의 이야기에서도 가장 하나님이 크게 보시는 것은 골리앗을 죽이는 것도 성전 건축도 전쟁에서 ...  
3156 수련회 첫날 말씀,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흘려보내는 공동체 [2] 1246     2015-01-31
제주에서 TCF 겨울수련회 말씀의 은혜를 정리(2015.1.19. 월, 설교 이시종 간사)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흘려보내는 공동체 삼상 30장     시작하면서   사무엘 상하의 다윗 공동체는 바벨론 포로기의 이스라엘 백성과 너무 정황이 맞고 해결 또한 다윗 공동...  
3155 제주 수련회의 감격~~ [1] file 922     2015-01-27
 
3154 제주 TCF 선생님들께 감사 인사드립니다~^^ [5] 903     2015-01-24
요즘 각종 스마트기기의 앱들을 이용하여 소통하다보니.. 정작 홈페이지는 소홀하게 되는 것 같아요~^^;;; 수련회 끝나고 바로 감사 인사 올렸어야 하지만..^^;; 제주 수련회의 특성 상 투어를 끝내고 돌아와서 이제야 감사 인사 올립니다~^^ 섬기는 인원도 적...  
3153 미주지역 TCF 리트릿 [4] file 1795     2015-01-17
 
3152 미주지역 tcf 수련회 [1] 985     2014-12-24
학기말 막바지, 건강히 지내고 계신가요? 저도 학교일, TCF수련회 준비 등으로 분주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내일 가족들과 함께 미국에 다녀오게 됩니다. 현재 미국에서 공부하고 계시는 박은철, 안준길, 한연욱 선생님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여행도 다닐 ...  
3151 (광고)은혜샘물초등학교 교원채용 file 3492     2014-11-21
 
3150 다큐영화 [쿼바디스]를 소개합니다. 1942     2014-10-27
지난주 토요일 다큐영화 [쿼바디스] 시사회를 다녀왔습니다. [트루맛쇼]와 [MB의 추억]을 만든 김재환 감독의 신작이라 기대가 되었는데요.. 영화를 보고나니 더 많은 기독교사들에게 미리 알리지 못한 것이 후회가 되더군요. 게다가 시사회 티켓은 4장 구입했...  
3149 2014년 2학기 중부지역 리더모임 소식 [2] file 2118     2014-09-28
 
3148 (TCF역사와 정신) 취재 이야기 5- TCF지역모임세우기와 지역교회 1927     2014-07-22
이제 <TCF 역사와 정신-33년사> 자료 수집이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책 출판과 관련된 정보를 구하며 언제 어떻게 편집하고 출판할 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습니다. 10년 이상 동안 꾸준히 매주 주중 모임을 가져온 지역, 전국수련회를 1번 이상 개최한 지역,...  
3147 부산경남을 섬기는 결혼예비학교 추천합니다. file 3075     2014-07-15
 
3146 부부세미나와 자녀캠프를 결합한 신개념기독가족캠프 추천 [1] file 3361     2014-07-15
 
3145 박만석 샘 부친상 2095     2014-07-02
7월 2일 박만석 샘 아버지께서 소천하셨습니다. 장례식장이나 일정은 잘 모르겠어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연락처로 직접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주님께서 만석샘 가정을 위로해 주시길 기도합니다.   박만석 : 010-4548-3881 이정미 : 010-7709-9778  
3144 2차 KIM 리쉬마 유대교육 비전트립(Lishmah Vision Trip: LVT)에 초청합니다 1665     2014-05-25
2차 KIM 리쉬마 유대교육 비전트립(Lishmah Vision Trip: LVT)은 21세기 꿈이 열리는 교육을 위한 이스라엘 성지순례 및 유대인 교육현장을 탐방하는 테마 여행입니다.   일정: 2014년 7월 31일 ~ 8월 8일, 장소: 이스라엘   시편 1: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  
3143 (TCF역사와 정신) 취재 이야기 4 : 먹기를 탐하는 자들 file 2164     2014-05-22
 
3142 오랜만에 소식전합니다. [2] 2048     2014-05-18
TCF선생님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사랑하는 친구이자 후임 대표간사로 섬기는 전형일 선생님이 너무나 공동체를 아름답게 섬겨온 지난 일년 반을 돌아보며 감사한 마음을 가집니다. 저는 여전히 대구지역 모임에 회원으로 꾸준히 참석하면서, 말씀을 나누고...  
3141 학생들과 남은 가족들의 영혼 구원을 위해 기도 해야할 때 2038     2014-04-20
오랜만에 글 올립니다. 결혼하고 신앙생활 하는 일이 쉽지 않음을 늘 깨닫습니다. 믿음의 선배님들을 떠올리며 존경하는 마음이 절로 생기곤 합니다. 가정이 믿음으로 잘 서지 않으면 어떤 사역도 할 수 없기에 속도는 느리지만, 가정을 세우고자 노력해가는 ...  
3140 이용세 목사님 모친상 [2] 2389     2014-04-18
이용세 목사님 모친께서 오늘(4/18) 소천하셨어요. 전형일 대표님이 오늘 밤에 문상 가십니다. 발인 4.21.월.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철원길병원 특실1호  
3139 목 놓아 울었다.... 1811     2014-04-17
목 놓아 울었다 징이 울듯 내 마음도 운다 봄비는 하염없이 내리고 차창속의 내 마음도 따라 내린다 정말 살아야하나 할 정도의 시간을 지나며 가슴이 녹아 내린다 어제부터 이내 마음 달래려고 가랑비가 내린다 비를 맞으며 걷는다 한없이 걷는다 아려오고 쿵...